-경기둔화에 따른 부동산PF 대출 위험성 빠르게 높아지고 있어
-도내 기업대출 심상치 않다...9년만에 31.2% 증가



경기둔화 우려 속에 전북지역 부동산PF 대출 위험성도 빠르게 높아지고 있어 경제여건 변화에 따른 비은행 기업대출의 부실화 위험에 유의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조은정 한국은행 전북본부 조사역은 2일 ‘전북지역 비은행예금취급기관 기업대출증가 배경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비은행은 상호저축은행, 상호금융(농·수협, 산림조합), 새마을금고, 신용협동조합 등을 포함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북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이하 비은행) 기업대출이 지난 2013년말 1조4000억원에서 2022년 10월말 15조6000억원으로 연평균 31.2% 증가했다.
이는 전국 평균치 비해 25.0%로 증가한 것으로 타 시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제규모가 작고 도민소득대비 가계대출 비중은 큰 전북경제 전반에 악영향이 우려된다.
조은정 조사역은 자금의 수요와 공급, 규제환경, 지역여건 등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했다.
먼저 자금공급 측면에서 수신 증가(2013년말 28조4000억원→2022년10월말 55조원)로 비은행의 대출 여력이 확대된 가운데 규제환경 측면에서 정부의 가계대출 규제 강화가 기업대출 증가로 이어진 것으로 판단했다.
자금수요 측면에서는 경영활동 악화로 영세 자영업자의 자금수요가 늘어난(2013년말 대비 개인사업자대출 11배 확대) 데다 부동산시장 호조로 브릿지 대출 등 부동산 개발 관련 자금 수요도 증가한 것으로 분석했다.
브릿지 대출은 부동산 개발사업의 초기자금을 조달하기 위한 비은행권 대출을 말한다.
또한 지역여건 측면에서 비은행 접근성(인구 1만명당 점포 수 5.2개, 17개 시·도 중 3번째)이 좋아 자금 수요자의 거래가 용이했다.
특히 도내 특성상 농림어업 종사자(17개 시·도중 3번째)와 소규모 기업(5인 미만 사업체수 비중 88.3%)이 많아 자연스레 비은행 거래가 잦았던 것으로 보인다.
조은정 조사역은 "이러한 기업대출의 증가는 기존에 가계부문으로 몰렸던 자금 흐름이 중소기업으로 이동한 것은 긍정적이나, 이들 수요의 상당 부분이 영세 자영업자일 가능성, 자금 용도가 부동산 관련 투자자금일 가능성 등은 경계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최근 경기둔화로 부동산PF 대출의 위험성도 빠르게 높아지고 있어 향후 경제여건 변화에 따른 비은행 기업대출의 부실화 위험에 유의하고 특히 영세 자영업자 대출 및 부동산 관련 대출을 주의해서 살펴보는 것이 긴요하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 전북기업, '산넘어 산'...고물가와 원자재가격 상승 '발목'
- 전북 12월 소비자심리지수 4개월 만에 반등
- 전북경제 4분기 생산.소비.투자 소폭 감소
- 전북, 10월 '가계·기업대출' 증가
- 유현석, 신임 금융감독원 전북지원장 부임
- 2022년도 한국은행 총재 포상 실시
- 관심 쏠리는 도내 고금리 예·적금 '특판'
- 전북도 중소기업 성장사다리 육성체계, 22년도 3분기 매출·수출 고성장 지속
- 전북 근로자 5만여명 일자리 찾아 '타향살이'..도내로 2000억원 근로소득 순유입
- 한국은행 전북본부, 2023년 외부연구용역 과제 공모 진행
- 작년 기업 어음부도율 4년만에 최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