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주에 사는 직장인 양모씨(33·여)는 코로나 여파로 결혼을 미뤄오다가 올해 초 결혼식을 올렸다. 지난 3년간 코로나19 여파와 경기 침체로 결혼식 참석에 대한 우려하는 주위 분위가 감지된 탓이다.
1990년 통계 작성이래 30대 신부 수가 20대 신부 수를 처음으로 추월한 것으로 조사됐다.
12일 통계청에 따르면 2021년 혼인 건수 19만3000건 중 아내가 초혼인 경우는 15만7000건으로 집계됐다.
여성의 초혼 건수 15만7000건 중 30대가 7만6900건으로 49.1%를 차지했다. 이어 20대 7만1263건(45.5%), 40대 6564건(4.2%), 10대 798건(0.5%), 50대 724건(0.5%) 등의 순으로 여성 초혼 건수가 많았다.
앞서 1990년 당시에는 30대 여성 초혼 건수가 1만8515건에 그쳐 20대 여성 33만3002건(5.6%)에 그쳤다.
30대 여성의 초혼 건수가 1990년 20대 여성의 18분의 1에서 2000년 8분의 1, 2010년 2분의 1로 격차가 줄어들더니 2021년에 역전에 이른 것이다.
30대 여성의 초혼 건수는 1990년 1만9000건, 2000년 3만1000건, 2010년 8만5000건 등으로 계속 증가했다.
남성의 경우에는 2021년에는 30대 남성의 초혼 건수가 9만9000건( 61.7%)으로 20대 남성 4만4000건(27.6%)의 2배를 웃돌았다.
앞서 2005년 남성의 30대 초혼 건수 12만1000건는 20대 11만9000건의 초혼 건수를 처음으로 추월했다.
2000년 초반까지 불었던 '서른 전 결혼'은 2021년 여성의 평균 초혼 연령이 31.1세, 남성 33.4세로 높아지면서 '결혼&출산' 정책이 저출산 기조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1991년 당시 여성의 결혼 적령기는 24.8세, 남성 27.9세에서 30년 만에 각각 6.3세, 5.5세 높아졌다.
초혼 연령이 높아지는 이유에 대해 한국개발연구원(KDI)은 2021년 ‘저출산 현상에 대한 이해와 정책 대응’ 보고서에서 결혼 적령기 성인 남녀의 혼인건수가 줄어드는 요인으로 △불안정한 고용 상황 △여성의 일-가정 양립의 어려움 △높은 주택 가격 등을 꼽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