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학점제 도입이 전북 교육현장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목소리가 높다.

소규모 학교가 대부분인 도내의 경우 다양한 과목 개설 등이 어려워 교사·학생의 어려움을 가중시킨다는 이유다.

25일 전교조·한국교총·교사노조연맹이 전국 고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95.7%가 선택 교육과정 운영 여건에 따라 지역·학교 간 교육격차가 심각해졌다고 답변했다.

실제 지난 1학기 기준 전북 학점이수기준 미도달 학생 비율은 10.9%로 전국에서 4번째로 높았다. 부산(3.1%), 대전(4.0%), 서울(4.9%) 등과 비교할 때 두 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도내 학점이수기준 미이수 학생 비율도 0.8%로 상위권이었다.

현재 고교학점제에서는 학업성취율 40% 이상·전체 수업의 3분의 2 이상 출석해야 해당 과목을 이수한 것으로 보는데, 10명 중 1명꼴로 이를 만족시키지 못한 셈이다.

전북 현장 교사들은 현행 고교학점제가 도내 현실을 반영하기 어렵다고 토로한다.

학교 규모에 따라서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과목을 제공하기 어렵고, 이수 학생 수가 적은 과목은 높은 내신 등급을 취득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는 이유다.

전주 한 고등학교 교사는 “사회·과학 교과목의 경우 한 교사가 여러 과목을 담당하면서까지 다양한 과목을 보장해주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라며 “입시제도와 병행하는 지금 상황에서는 도입 취지가 퇴색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최소 성취수준 보장·미이수제 역시 학생·교사 부담을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꼽혔다.

익산지역 한 고등학교 교사는 “장기간 누적된 학습결손을 단시간의 최소 성취수준 보장 수업으로 충족시키기는 어려움이 있다”며 “수업을 받아야 하는 학생들은 학생들대로 부담을 느끼고, 이를 권해야 하는 교사들도 교사들대로 힘든 입장”이라고 토로했다.

특히 “이렇다보니 일부 학교에서는 수행평가를 쉽게 출제하는 등 제도 취지와 맞지 않는 방식으로 최소성취수준을 만족시키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와 관련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백승아·정성국 의원과 교사노동조합연맹, 전국교직원노동조합,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평등교육실현을위한전국학부모회, 민주청소년네트워크는 이날 기자회견을 갖고 최소 성취수준 보장지도·진로 및 융합 선택과목 절대평가 전환·교원 정원 확보 등을 촉구했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