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주·완주통합, 민선8기 추진은 사실상 어렵다.”
우범기 전주시장은 25일 전주시청 기자실에서 간담회를 열고 “내년 6월 지방선거까지 전주·완주 통합시 출범은 물리적으로 어렵다”는 의견을 내놨다.
우 시장은 “지방선거 이후 다시 추진한다 해도 결국 2030년 통합시 출범으로 갈 수밖에 없다”며 “전주는 외연 확장이 필수로 민선 9기에도 통합논의가 지속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전주·완주 통합이 어렵다하더라도 그냥 머물러 있어선 안 되며 새로운 대안을 찾아야 한다”며 “실패했으면 새로운 돌파구, 전주발전을 위한 길을 찾아야 한다”고 피력했다.
사실상 올해 안 전주·완주 통합관련 주민 투표가 실시되더라도 법제화 등 준비과정이 필요해 내년 출범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분석이 나온다.
주민투표법 규정에 따라 지방선거 60일 이전에는 주민투표 발의 또는 투표일로 지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주민투표 가결 시 통합추진공동위 구성해 60일 이내 통합시 명칭 및 청사 소재지를 결정해서 국회에 법안을 상정·공포해야 내년 지방선거에서 통합 자치단체장을 선출할 수 있다.
따라서 우 시장은 민선 9기에서도 전주·완주 통합논의를 지속해야 하며, 아울러 새로운 전환점 역시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우 시장은 “천안은 예산·인구가 전주와 비슷해도 면적이 3배이기 때문에 선택 폭이 넓지만, 전주는 대체할 공간이 없다”며 “완주와 통합뿐만 아니라 김제시나 임실군 등 인근 지자체와 통합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김제시의 경우 공항 예정 부지 등 개발 여건이 갖춰져 있어 “전북권 KTX역 신설 등도 가능하다”고 실질적 이익을 언급했다.
전주·완주통합 추진은 지난 1998년 ‘통합’이 아닌 ‘흡수’ 인식 때문에 완주군의회 반대로 무산된 이래 4번째 시도이다.
이번 통합시도는 과거를 교훈 삼아 관 주도가 아닌 민간 주도로 진행되면서 통합 가능성을 높게 봤지만 찬반여론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는 상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