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주시 농업기술센터는 올 한 해 다양한 농업인 교육을 통해 농업현장 경쟁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25일 밝혔다.
특히 농업인대학과 품목별 재배기술 교육, 온라인 마케팅, 청년농 육성 프로그램 등 다양한 교육과정이 농업인의 자립역량 강화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됐다.
올해 농업인 교육운영에는 1억1800만 원이 투입됐으며, 전반적으로 교육 수료율과 만족도가 94%에 달했고, 기술 향상도 역시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또 오이·호박과 고추 과정이 개설돼 3월부터 10월까지 각 과정별 15회, 70시간씩 운영됐으며, 총 56명의 농업인이 수료했다.
영농기술 향상도 역시 평균 28.9%p(63.3%→92.2%) 증가했으며, 이는 실제 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졌다는 평가다.
청년 농업인 육성 분야에서도 성과가 두드러졌다. 스마트농업, 유통·소비시장 분석, 농기계 실습, AI 활용 등 최신 트렌드를 반영한 72시간 과정으로 진행돼 96%의 높은 만족도를 기록했다.
뿐만 아니라 올해 처음 도입된 ‘청년농 품목(멜론) 현장 컨설팅’은 품질향상과 소득이 20~30%p 증가하며 영농 정착의 우수사례로 평가되고 있다.
강세권 전주시 농업기술센터 소장은 “올해 실습·현장 중심 교육을 강화한 것이 실제 성과로 이어졌다”며 “신수요 작목 중심의 맞춤형 교육체계를 더욱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홍지안 기자
obliviatej@daum.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