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피지컬AI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온디바이스 AI 반도체 경쟁력 강화에 초점을 맞춰야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는 막대한 자원이 소모되는 AI데이터 센터 구축 경쟁에 빅테크 기업들이 속도조절을 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기존 클라우드 처리 방식이 아닌 기기 내부에서 처리하는 온디바이스 AI가 차세대 핵심 기술로 부상할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이다.
이에 피지컬 AI 실증단지 조성에 나서고 있는 전북특별자치도에서 온디바이스 AI를 적용한 제조업 혁신을 비롯한 자체 칩·소프트웨어 개발 등을 통한 온디바이스 AI 종합생태계 강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24일 전북테크노파크 본부동 대강당에서 열린 ‘피지컬AI 반도체 시대를 준비하라’ 기술세미나에 연사로 나선 가천대 김용석 석좌교수는 “AI의 확산으로 GPU·HBM 중심의 반도체 수요가 급증하며 산업 구조가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며 막대한 물적 자원 소모 등으로 인해 빅테크 기업들의 데이터 센서 확장 조절과 AI 칩의 자체 개발 등으로 클라우드 및 데이터센터용 AI 반도체 시장 둔화를 예상했다.
이에 따라 김 교수는 스마트폰, 자동차 등 기기에 AI 기능을 직접 수행하는 온디바이스 AI 경쟁력 강화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온디바이스 AI는 서버 및 클라우드를 거치지 않고 기기에서 AI기능을 수행하는 기술로, 대표적인 사례로 지난해 삼성전자가 공개한 ‘갤럭시 S24 울트라’를 꼽았다.
스마트폰에 AI칩을 탑재해 실시간 통번역 기능을 제공하는 등 형태의 기술이 온디바이스 AI인 것인 셈이다.
이러한 기술을 자동차를 비롯해 제조기술에 적용하고 관련 산업 생태계 활성화가 피지컬 AI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김 교수는 전북자치도가 피지컬 AI 산업을 선도하기 위해서는 단기적으로 온디바이스 AI의 선제적 도입과 장기적으로 온디바이스 AI 반도체 자체 개발 능력 강화 등을 통한 생태계 조성에 나서야 한다고 제언하기도 했다./김용기자·km496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