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K·현대차·LG 등 주요 기업이 향후 5년간 1,300조 원이 넘는 투자를 예고하면서 전국 지자체의 유치전이 전면전에 돌입했다. 수도권은 전력·부지 한계로 확장이 어려운 반면, 지방은 드물게 찾아온 대규모 투자 기회를 맞았다. 전북도 예외가 아니며, 특히 새만금이 이번 흐름을 잡지 못한다면 향후 10년 지역 경제의 활력은 기대하기 어렵다.

최근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열린 한미 관세협상 후속회의에서 정부가 규제 완화와 세제 지원을 약속하자 기업들은 초대형 투자로 화답했다. 특히 이 대통령이 “지방 활성화와 산업 분산을 위해 더 많은 관심을 가져 달라”고 요청한 상황에서 삼성 450조 원, 현대차·SK·LG 의 대규모 투자계획 발표는 지방에 새로운 투자 축이 형성되고 있음이 분명하다. 

이미 전국에서는 파격적인 인센티브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 광주·대구·경북은 보조금과 분양가 인하로 기업을 유혹하고, 울산·포항은 기반시설을 직접 구축하며 속도를 높이고 있다. 충남은 1조 원 벤처펀드로 대기업?스타트업 연계 생태계까지 준비 중이다.

전북이 내세울 수 있는 강점은 분명하다. 새만금의 광활한 단일 부지, RE100 실현 가능성, 신항만·공항 등 물류 인프라는 전국적으로도 드문 조건이다. 수도권에서 데이터센터가 주민 반대로 줄줄이 무산되는 상황까지 겹치며 새만금은 사실상 ‘무저항 입지’로 떠오르고 있다.

전북이 제시할 수 있는 최대 300억 원 투자보조금, 세제 감면, 분양가 절반 지원, 장기 임대 등 패키지도 충분히 경쟁력 있다. 그러나 관건은 속도와 실효성이다. 인센티브만 나열해선 기업을 움직일 수 없다.

데이터센터는 건설·운영 전 과정에서 지속적 고용과 부가가치를 만들고 AI·로봇 등 연관 산업을 끌어온다. 전북이 이 산업축을 선점한다면 지역 경제는 새로운 성장엔진을 확보할 수 있다.

지금 전북은 인센티브 체계를 신속히 정비하고 기업·정부와의 협상을 앞당겨야 한다. 공항·신항만·전력망 등 핵심 인프라의 일정도 명확히 제시해야 한다. 이번 기회를 놓친다면 다음은 없다. 지역의 미래를 결정할 중대 분기점에서 전북의 대응이 시험대에 올랐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