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가 내년도 국가예산 확보를 위한 막판 총력전에 돌입했다.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예산조정소위가 감액 심사에 착수하면서, 여기서 마련되는 재원이 지역 현안의 증액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이번 주 심사는 전북의 핵심 사업을 지켜낼 수 있는 사실상의 마지막 고비다. 도와 정치권이 한층 더 긴밀한 공조 태세를 갖춰야 하는 이유다.
전북도는 새만금 신항 항로 준설, 상수도 간선관로 건설, 헴프 산업클러스터 타당성 용역을 최우선 증액 대상으로 제시했다. 전북권역 통합재활병원 총사업비 반영과 피지컬 AI 플랫폼 구축도 지역 미래산업 경쟁력과 직결되는 중대 과제들이다. 새만금 개발과 산업전환 전략이 국가균형발전이라는 국정 목표와 맞닿아 있는 만큼, 이들 사업은 충분한 타당성과 국가적 의미를 지닌다. 특히 새만금 개발이 장기간 지연되며 지역경제에 부담이 누적된 만큼, 이번 예산에서 숨통을 트는 계기를 마련해야 한다는 지역적 요구도 절실하다.
국회에서 전북 출신인 한병도 의원이 예결위원장을 맡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이지만, 이에 안주하는 안일한 생각은 경계해야 한다. 무엇보다 국회의 의지만으로 증액이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기재부의 동의 없이는 예산 반영이 현실화되기 어렵다. 결국 최종 관문을 넘기 위해서는 도와 정치권이 끝까지 흔들림 없는 공동전선을 구축해야 한다. 전북도는 예결소위 기간 국회에 상주하는 기재부 실무진을 지속적으로 설득하고, 지역 사업이 국가적 차원에서 갖는 필요성을 구체적 근거와 자료를 통해 제시해야 한다. 정치권도 정파를 넘어 지역의 미래라는 대의를 중심으로 협력해야 한다. 도와 시·군이 국회 현장에서 합동 상주반을 운영하며 실시간 대응에 나서겠다는 계획도 형식에 그치지 않도록 세밀하게 가동해야 한다.
새만금 개발과 미래산업 육성은 전북의 장기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기반이며, 이번 예산 확보 여부가 향후 성장의 속도를 결정하게 될 것이다. 예산 경쟁이 어느 때보다 치열한 상황에서, 전북이 원하는 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마지막까지 도와 정치권의 유기적 공조가 절대적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