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자치도가 미래 성장동력으로 추진 중인 제3 금융중심지 유치 등 금융산업 육성 정책에 대해 전면적인 쇄신이 필요한 것 같다.

 보여주기식 계획과 실행력과 검증 없는 추진, 비전 부재가 반복되면서 핵심 사업들이 장기간 표류하고 성과라고 내세운 결과들마저 실속이 없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지금의 추진 방식으로는 금융중심지를 향한 전북의 꿈은 도달 불가능한 목표로 전락할 것이 불 보듯 하다.

 도내 금융 육성 정책의 대표적 상징 사업인 금융타운 조성 사업은 2년째 아무런 진척 없이 표류 중이다. 한때 의욕적으로 발표했던 금융 · 핀테크 창업기업 도내 이전 지원 사업도 초라하다. 당초 24개 기업에 달하던 이전 기업도 지금까지 남아있는 기업은 6개에 불과하다. 사업 종료 후 1년 이상 도내 주소 유지라는 조건이 끝나자마자 모두 본래 지역으로 돌아간 것이다. 금융산업에 대해 무지몽매한 행정당국이 건수 채우기와 보여주기에 급급해 벌인 졸속행정의 결과다.

 전북자치도 행정 내부의 준비 부족과 전략 부재가 주원인이다. 도가 내놓은 금융정책은 매번 새로운 용어와 계획을 앞세우지만 실제 실행 과정에서는 구체성, 지속성, 전문성이 결여돼 있다. 실무진의 금융산업 이해도가 낮고, 외부 전문가 협력도 형식적이거나 일회성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정부의 금융정책 방향성 파악과 전문성 확보가 핵심인 데, 행사 중심과 단기 성과에만 매몰된 전북자치도의 금융 육성 정책이 시장과 업계의 지지를 받을 수는 없지 않은가.  

 도의회 서난이 의원(전주9, 민주당)이 지난 15일 행정 사무감사에서 제기한 “모방형 정책 추진, 숫자 채우기에 급급한 행정으로는 전북에 장기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금융생태계 조성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은 실속 없는 작금의 전북 금융정책의 실상을 들춰낸 것이다. 

 전북자치도는 서 의원이 지적한 문제를 흘려듣지 말고 금융정책을 다시 세울 절호의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추진 전략부터 재검토하고 실무진 구성과 업무 추진 방식, 외부 전문가와의 협업 구조까지 모두 원점에서 재정비해야 한다. 무엇보다 금융산업을 단순한 기업 유치로 보지 말고 유일무이한 전북의 핵심 성장동력으로 바라보는 관점 전환이 필요하다.  

 김관영 지사는 정책의 뿌리부터 전면적으로 뜯어고치는 결단을 해야 한다. 전북도민에게 언제까지 희망 고문만 할 것인가.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