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특별자치도가 올림픽 유치를 도시 전략의 핵심 의제로 끌어올리며 구체적 실행 논의에 들어갔다.
15일 오전 10시 전북대학교 진수당에서는 전북도와 전북연구원의 주최·주관으로 ‘올림픽 도시 포럼’이 열렸다.
이날 포럼에는 스포츠 전문가와 단체, 체육인, 도민 등 300여 명이 참석했으며 '올림픽 도시'를 주제로 국제기구와의 협력, 도시 기능 재편, 시민 중심의 지속가능 운영체계 등 유치에 필요한 핵심 요소들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첫 번째 발제자로 나선 박주희 국제스포츠전략위원회 이사장은 올림픽 유치의 열쇠를 글로벌 협력에서 찾았다. 그는 그동안 주요 개최도시들이 국제기구와의 연계를 통해 외교적 영향력을 키워 왔다며, 전주 역시 글로벌 협력망에 적극적으로 뛰어들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또한 전주가 보유한 문화·관광 자산을 국제 의제로 확장할 경우 ‘중소도시형 올림픽 모델’의 새로운 기준을 세울 수 있다고 내다봤다.
박 이사장은 K-컬처 기반의 문화올림픽 추진, IOC·OCA·UNESCO와 연결된 다자협력 체계 구축, 탄소중립 개최계획과 도시·문화·관광 통합을 통한 지속가능 레거시 마련 등을 핵심 전략으로 제시하며 “전주 올림픽은 도시 전체가 유산이 되는 대회여야 한다”고 말했다.
뒤이어 발표에 나선 조현주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선임연구위원은 올림픽 도시의 미래 방향을 ‘시민 중심의 지속가능 모델’로 규정했다. 그는 기후위기·인구변화·지역 격차 등 도시가 직면한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올림픽을 도시 혁신의 촉매로 활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파리올림픽이 생활권 중심 재생을 통해 일상적 변화를 만들어낸 사례를 언급하며, 전주 역시 시민의 생활환경을 개선하는 방식으로 레거시를 구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조 위원은 서울·런던·파리로 이어지는 올림픽 도시 1.0~3.0의 흐름을 설명하면서 저탄소·분권형 운영, 시민참여 확대, 생활권 재생을 핵심 가치로 제시했고, “전북·전주는 3.0 모델을 선도할 충분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날 포럼은 전북·전주가 지속가능한 도시 모델과 실행 전략을 갖출 때 올림픽 유치 논의가 실질적 동력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을 재확인하며 마무리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