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에 대한 역사 왜곡은 일본과 중국이 앞장서 왔다. 자국 이익을 위해 이웃 국가의 역사를 마음대로 바꾸는 행위로 아직까지도 공공연히 행해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이에 대해 외교적 항의 등 여러 방면에서 대응했지만 이를 근절시키지 못하는 형편이다. 오히려 일본이나 중국은 우리나라에 대해 자신들의 주장이 옳다는 식으로 강변하고 있다. 게다가 이들의 역사 왜곡은 다른 나라에까지 영향을 미쳐 우리로서는 자존감에 큰 상처로 작용하고 있다.
우선 일본은 1980년대부터 지속적으로 우리나라 역사를 자국의 입맛대로 재단해왔다. 대표적인 것이 독도 영유권 주장이다. 독도를 다케시마라는 이름으로 부르며 역사적으로 자신들이 영유권을 가졌다는 억지를 부리고 있다. 또 일제 강점기 전장이나 광산, 공장 등에 강제로 끌고 가서 희생시킨 한국 젊은이들을 자발적인 의사에 의한 것이었다고 주장해왔다. 요컨대 제국주의 침략을 전면적으로 부정하는 태도다.
중국 역시 2000년대 초부터 ‘동북공정’이라는 이름 아래 우리나라 역사를 훼손하는 중이다. 중국은 연변 등 중국 동부가 애초부터 자신들의 역사라고 주장했다. 그러다 보니 고구려 역사가 중국 역사의 일부가 되고 말았다. 또 고조선이나 발해 등 한국 고대사가 중국사가 되는 어이없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 거기서 한 걸음 더 나가 백제 역사까지 중국사로 편입하는 연구마저 등장해 할 말을 잃게 만들었다.
그뿐 아니다. 최근 한류가 지구촌을 풍미하자 한복이나 김치, 아리랑 민요 등 우리 고유문화를 원래 중국 문화였다는 식으로 주장하는 일들이 이어지고 있다. 실제 중국 방송에서는 우리나라 한복을 입은 중국인들이 아리랑을 부르는 장면이 나오기도 했다.
지난달 국회 국정감사에서 허민 국가유산청장은 “문화공정 대응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주변국의 역사 왜곡에 철저히 대비하겠다”고 밝혔다. 여기서 문화공정은 어떤 문화가 다른 문화의 원조라고 주장하거나, 타국의 전통문화를 자국 문화라고 왜곡 혹은 편입하는 시도를 뜻한다. 일본과 중국의 역사 왜곡을 겨냥한 발언이다. 허 청장은 또 “K-헤리티지(유산)의 글로벌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우리 유산과 관련한 다국적 연구를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허 청장은 이어 “우리 유산을 주제로 한 영문 도서나 미디어 콘텐츠 등을 다양하게 제작하고 해외 플랫폼을 통해 유통하는 등 글로벌 홍보를 확대하겠다”고 강조했다.
정부의 이런 대응은 오히려 때늦은 감이 있다. 윤석열 정부의 경우 일본의 교과서를 통한 역사 왜곡을 수수방관했던 경우가 있었다. 물론 주변국 역사 왜곡에 대해 외교적 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어 신중해야 한다는 견해도 있다. 하지만 우리 역사는 우리가 지켜야 한다. 이를 소홀히 했다가는 귀중한 우리 역사가 훼손당하는 일이 벌어질 수 있다. 역사 지키기에 어느 정도 공세적이고 단호한 태도를 취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앞으로 새 정부의 대응 수위를 지켜볼 일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