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안군의 발전을 위한 권익현 군수의 행보가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지난 2일, 서울 정부종합청사에서 이뤄진 김민석 국무총리와의 면담 때문이다.
이번 면담의 핵심은 단연 ‘서남권 해상풍력 연계 새만금 RE100 국가산업단지 조성’이었다.
권 군수는 “부안은 새만금 개발 과정에서 늘 변방에 머물렀다”며, 부안군민 1만 6000명이 참여한 ‘농생명 용지 7공구 산업용지 전환 촉구 서명부’를 국무총리에게 직접 전달했다.
군민의 결집된 의지를 담아낸 서명부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지역 발전을 향한 절박한 바람이자 ‘부안이 더는 소외돼선 안 된다’는 무언의 메시지였다.
권 군수의 주장은 명확하다.
새만금 내 부족한 산업단지를 확충하고, 부안이 재생에너지와 첨단산업의 중심지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농생명 용지 7공구의 산업용지 전환이 필수라는 것이다.
이는 단순히 지역의 요구가 아니라, 대통령의 전북특별자치도 광역 공약을 실행에 옮기는 첫걸음이며, 국가 균형발전 전략과도 직결되는 사안이다.
지방자치단체장이 중앙정부를 상대로 이런 절실함을 담아내기란 쉽지 않다.
그러나 권익현 군수는 특유의 집념과 실행력으로 국무총리와 마주 앉아 부안군민의 목소리를 전했다.
이 자체만으로도 부안군민에게는 큰 의미이고, 중앙정부에는 무겁게 다가오는 신호탄일 것이다.
새만금 RE100 국가산단은 단순한 산업단지가 아니다.
그것은 부안군이 대한민국 재생에너지 전환의 중심으로 자리 잡을 수 있느냐, 아니면 또다시 주변부로 남느냐를 가르는 시험대다.
국무총리와의 면담은 그 시험대 위에서 권익현 군수가 보여준 ‘부안의 절실함’의 상징적 장면이었다.
이제 정부가 답할 차례다.
부안군민이 보여준 간절한 의지와 권 군수의 노력에 중앙정부가 진정성 있게 화답할 수 있을지, 그 결과는 곧 전북의 미래이자 국가 균형발전의 바로미터가 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