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남권 해상풍력단지(2.4GW)와 전남 신안 해상풍력(8.2GW)에서 생산된 대규모 재생에너지를 수도권 반도체 클러스터 등 산업 중심지에 공급하기 위한 송전망 구축이 본격 추진되고 있다.

변산면 새만금방조제에서 정읍 신정읍변전소까지 이어지는 30km 구간 가운데, 부안군을 관통하는 345kV 고압 송전선로 설치사업이 일부 주민 반대에 직면하면서 지역 사회 갈등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이 사업은 단순히 송전선로 하나를 세우는 것이 아니다.

이는 부안군이 재생에너지 중심지로 성장할 수 있는 결정적 계기이자, 전국 에너지 전환의 중심축으로 부상할 기회다.

무엇보다 이번 사업에는 주민이 직접 참여해 이익을 공유하는 주민참여제가 포함돼 있어, 모든 부안군민이 매달 20만 원가량의 바람연금을 안정적으로 받을 수 있는 구조다.

이러한 바람 연금은 어쩌다 한 번씩 나오는 일시적 생활안전자금과는 차원이 다르다.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수익이 군민 모두에게 돌아가며, 이는 지역 인구 감소 문제 해결과 청년 유입, 자립 기반 조성에 핵심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부안을 살리는 길은 바람이 되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일부 반대 대책위는 송전탑 설치로 인한 환경 훼손, 건강 피해, 재산권 침해 등을 이유로 전면 반대를 고수하며 군민 갈등을 부추기고 있다.

이들은 마치 자신들의 의견이 지역 전체를 대변하는 듯 주장하고 있으나, 이는 실상을 왜곡하는 무책임한 주장에 불과하다.

지역 발전을 위해 필요한 논의는 반대를 위한 반대가 아니라, ‘함께 만드는 미래에 대한 성숙한 사회적 합의여야 한다.

특히 부안군은 이번 사업으로 연 900억 원 규모의 지원금을 20년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지역 예산 자립도 강화뿐 아니라 도로, 교육, 복지 등 전방위적 투자 여력을 높이는 핵심 재원이다.

대책위는 지산지소(地山地消)’를 주장하며 생산된 전기는 부안에서 우선 소비해야 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이는 에너지 수요와 공급의 현실적 구조를 무시한 감성 논리에 가깝다.

RE100을 달성하려는 전국 산업계의 수요를 고려할 때, 전력 계통망 차원의 효율적 공급이 우선돼야 하며, 그래야 새만금 RE100산단 또한 유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다.

지금 부안이 해야 할 일은, 특정 소수의 목소리에 휘둘릴 것이 아니라 군민 모두에게 실질적 이익이 돌아가는 에너지 미래전략을 지혜롭게 선택하는 일이다.

지속 가능한 경제’, ‘참여를 통한 이익 공유’, ‘환경과 공존하는 재생에너지는 단순한 구호가 아니라 이제 부안이 선택할 수 있는 현실적 대안이다.

갈등을 멈추고 기회를 준비할 때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