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해상풍력 산업의 미래를 책임진다던 한국해상풍력㈜. 그러나 부안군민들의 반응은 싸늘하다.
14조 원 규모의 해상풍력단지를 조성하겠다며 등장했지만, 정작 지역과의 실질적 상생은 외면하고 껍데기뿐인 본사와 생색내기 지원으로 일관하고 있다는 비판이 거세다.
전북특별자치도는 새만금 RE100 국가산단과 연계해 부안·고창 해역에 2.46GW 규모의 서남권 해상풍력단지를 조성, 대한민국 신재생에너지 전환의 핵심 거점으로 육성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2020년 전국 최초 민관협의회 주민합의로 사업 재가동에 성공했고, 2025년 착공을 앞두고 있다.
하지만 이 거대한 사업을 추진 중인 한국해상풍력은 부안군민의 신뢰를 얻지 못하고 있다.
한국전력공사와 발전6사가 공동 출자한 이 특수목적법인은 2021년 전기사업허가를 받았으나, 본사라 밝힌 부안읍 사무실엔 상근 직원이 고작 3명에 불과하다. “이게 무슨 본사냐”는 비아냥이 나올 정도다.
법인세 등 지방세 수입 기대는 실현되지 않았고, 본사 이전은 명목상의 ‘주소 이전’에 불과했다.
여기에 지역 상생이라며 추진된 치어방류나 행사 지원 등은 주민들에게 “생색내기”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10만 명 인력 투입, 80여 개 일자리 창출, 주민참여형 사업 등 굵직한 약속도 실체가 없다.
위도 인근 해역의 시범사업(400MW, 약 2조 4천억 원)은 구체적 진척 없이 표류 중이다.
주민들은 “설명회조차 일방통행”이라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외치며 등장한 한국해상풍력. 하지만 지금껏 드러난 건 실체 없는 본사와 구체성 없는 공언뿐이다.
“부안을 단지 사업 배경으로 소비하지 말라”는 군민의 외침에, 이제는 행동으로 응답해야 할 때다. 군민들은 더 이상 기다릴 인내심이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