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상풍력 발전을 둘러싼 갈등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부안군 고압 송전철탑 반대위원회(이하 반대위)가 지난 8일 기자회견을 열고 제기한 “외유성 해외 견학”, “대가성 해외 견학”, “청탁금지법 위반” 의혹에 대해 한국해상풍력(주)(이하 한해풍)이 정면 반박에 나섰다.
한해풍은 11일 공식 입장문을 통해 “해외 견학은 해상풍력 사업의 지역 수용성 제고와 공동 학습을 위한 정기 행사”라며, “외유성 관광이라는 주장은 사실을 왜곡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논란의 중심에 선 것은 지난 3월, 부안 지역 주민자문단과 한해풍 직원들이 참여한 유럽 선진지 견학 프로그램이다.
이들은 프랑스 생-나자르(480MW), 패캉(497MW), 그리고 벨기에 해상풍력단지를 방문해, 총 2.4GW 규모로 개발 중인 서남권 해상풍력단지의 미래를 가늠해보는 시간을 가졌다는 설명이다.
한해풍 측은 “이번 견학은 2015년부터 정기적으로 운영되어 온 상생 프로그램의 연장선”이라며, “예산과 일정은 이사회 승인을 거쳐 사전 계획대로 투명하게 진행되었다”고 밝혔다.
견학에는 지역 주민과의 소통을 확대하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구성된 ‘주민자문단’이 참여했다.
한해풍은 이 자문단이 공식 민관협의회와는 별개로 운영되는 조직이며, 공무 수행과는 무관하다고 강조했다.
반대위는 견학 일정 중 포함된 문화탐방, 식사 장소, 숙소 등을 들어 이번 일정이 외유성 관광에 불과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한해풍은 “일부 일정을 과도하게 부각시켜 전체 견학의 목적과 성격을 의도적으로 훼손하고 있다”며, “이는 지역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주민자문단의 진정성까지 훼손하는 행위”라고 강하게 반발했다.
‘부안 유치’와 관련된 대가성 의혹에 대해서도 한해풍은 전면 반박했다.
공동접속설비의 위치는 당초 고창군에서 부안군으로 변경됐는데, 이로 인해 해저케이블 설치 비용이 2배 가까이 증가하고, 사업 착수가 지연되면서 사업성이 크게 악화됐다는 설명이다.
“이 결정은 전라북도, 관계기관, 주민대표 등이 함께 참여한 민관협의체에서 투명하게 논의된 결과이며, 지역 주민 경청회와 최종 의결을 통해 확정된 것”이라며, “한해풍 입장에서 결코 유리하지 않은 상황을 감수하면서도, 지역사회의 의견을 존중했다”고 밝혔다.
또한 반대위가 주장한 송전선로 유치 관련 의혹에 대해, 한해풍은 “해당 시설은 한국전력공사의 책임 하에 추진되는 사업이며, 현재 입지선정위원회가 진행 중”이라며, “한해풍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고 일축했다.
청탁금지법 위반 가능성에 대해서도 법률 검토 결과를 인용하며 “공무 수행과 무관한 민간자문단의 견학이므로 법률상 위반 사항이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해풍은 “이번 견학은 사회상규에 비춰보아 정당한 목적과 형식, 절차를 갖춘 활동”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논란에 대해 한해풍은 “일부 단체의 악의적인 주장에 상처받는 주민들이 많다”며, “앞으로도 더 많은 주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상생 프로그램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부안 해상풍력 사업은 총 2.4GW 규모로, 전라북도 서남권 경제의 신성장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주민 수용성과 송전선로 문제 등 다양한 이해관계가 얽히면서 지역 내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
이번 논란은 해상풍력 사업의 추진 과정에서 ‘진정한 상생’이 무엇인지에 대한 질문을 다시 던지고 있다.
과연 부안의 미래는 누구와 어떻게 만들어갈 것인가. — 주민과 기업, 그리고 행정의 진지한 대화가 절실한 시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