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춘구 언론인
김관영 전북 지사가 완주·전주통합에 발 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김관영 지사는 6월 18일 전주시를 방문하면서 기자실에 들러 가진 회견에서 완주·전주통합과 관련해 “완주군민들의 걱정을 해소해 주는 그런 해법들이 곳곳에서 나와야 된다.”고 강조했다. 지사는 이어서 “그런 것들이 계속되어서 신뢰가 쌓이고 회복되어야 이 통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고.”라고 말했다. 지사는 완주군민들이 통합을 반대하는 이유를 철저하게 연구하고 고민해서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에 초점을 두고, 지혜를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회견에서 완주·전주통합에 전제가 되는 두 가지 명제를 정확히 밝힌 것이어서 주목을 끈다.
2013년 완주·전주통합이 실패한 가장 큰 원인은 당시 지역정치권이 조직적으로 날조한 공해, 세금, 재정 빚 폭탄 등 소위 ‘3대 폭탄’설이다. 여기에 덧붙여 투표 직전에 터진 완주지역 교육특혜 축소론도 통합에 찬물을 끼얹었다. 이번에도 지역정치권의 그런 행태들이 통합을 가로막지 않을까 우려되고 있다. 통합청주시도 통합 전에 완주·전주와 비슷한 ‘3대 폭탄’설이 터져 통합을 어렵게 한 적이 있다. 그러나 통합 이후 점검 결과 ‘3대 폭탄’설은 가짜로 드러났다. 청주시에서는 재정 빚 폭탄 대신에 농촌소외를 ‘3대 폭탄’설에 포함시켰다. 완주군민은 또한 자신들이 누리는 생애주기별 복지혜택, 농업상 지원, 그리고 농촌지역에 주어지는 교육특혜 등이 통합으로 인해 사라지는 게 아닐까 걱정한다. 이 부분은 전북도와 전주시, 완주군 등 행정기관들과 전북교육청이 협약을 해서 보장을 약속할 수 있다.
다음으로 2013년 통합 추진 당시 3개 행정기관들이 합의한 10대 완주·전주 상생발전사업들을 상황변화에 맞게 수정해서 다시 합의하도록 해야 한다. 10대 사업을 살펴보면, 통합시청사 완주군 배치, 종합스포츠타운 공동건설, 2년간 300억원의 농업발전기금 확보, 농업농촌 투자재원 확보, 전주권 GB해제지역규제 공동건의, 농수산물도매시장 완주이전, 완주군에 대규모 위락단지 조성, 주택 아파트단지 조성, 전북도의 공공기관 완주 이전, 택시사업구역 통합 등이다. 완주군은 2013년 기획행정, 농업개발, 지역개발, 산업경제, 그리고 복지환경 등 5개 분야 85개 세부사업을 통해 군민과 군 소속 공무원 등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해줄 것도 요구했다.
전북도는 지난 2년 가까이 전주시, 완주군과 함께 11차례에 걸쳐 26개 상생협력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주요 내용으로는 수소경제 중심도시 협력사업을 비롯해 전북혁신도시 금융기관 공동유치, 전주·완주 지역사랑상품권 상호유통추진, 만경강 완주·전주 상생투어, 그리고 상관저수지 힐링공원 조성사업 등이다. 또한 에코시티-삼봉지구 병목구간 도로확장과 전북혁신도시 진입도로 국도승격, 수소버스 보급 확대, 전주·완주 시티투어버스 공동운영 사업도 추진하기로 했다. 김관영 지사가 완주군민의 걱정을 덜어주기 위한 상생협력 사업들로 보인다. 여기서도 김 지사의 용의주도한 성격이 드러난다고 할 수 있다.
완주·전주통합을 위한 주민투표 건의 서명부는 6월 12일 완주군에 제출됐다. 이 서명부는 완주군의 검토를 거쳐 7월 10일쯤 전북자치도로 넘어가게 된다. 이 과정에서 김 지사는 “전주시의 의견, 또 완주군의 의견, 또 우리 전라북도에서 전체에서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있는 많은 분들의 의견을 수렴해서 도지사로서의 의견을 첨부해서 보내려고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여기서 주요 변수는 더불어민주당의 완주·전주통합 당론화 결정이다. 당론으로 결정되면 군 의회 의결을 거쳐 축제 분위기 속에서 완주·전주통합이 추진될 것이다.
완주·전주통합에 반대하는 주민의 의견도 충분히 들어 그들의 걱정거리를 해소해야 하는 것도 필요한 일이다. 반대론자는 “통합 반대 이유는 간단하고 분명합니다. 통추위가 전북 발전이라고 하는 표면적인 이유를 내세우지만, 실질은 완주군과 완주 군민을 희생시켜 전주시와 전주시민만의 발전을 획책하는 속내가...”라고 주장한다. 자유민주주의 사회에서 이런 일이 가능할까? 우리는 4번째 도전하는 완주·전주통합에 반드시 성공해 3전4기의 신화를 만들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