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주민센터의 전기차 충전시설 관리 매뉴얼 부재는 행정의 불신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제도개선이 절실해 보인다. /이상선 기자
도내 주민센터의 전기차 충전시설 관리 매뉴얼 부재는 행정의 불신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제도개선이 절실해 보인다. /이상선 기자

지난 2017년 친환경 정부 정책에 따라 전기차 1세대로 불리는 저속충전 시설이 전국 지자체 주민센터에 우후죽순 설치되면서 골칫덩이로 전락한 모습이다. [진단③] 전기차의 허와 실...전기차 충전소 개선 절실

문제는 지자체 주민센터의 충전시설은 시민 누구나 쓸 수 있도록 했지만, 현실에 맞지 않은 시설로 전락했다는 민원이 제기되면서다.

최근 국민권익위원회가 운영하는 국민신문고 국민생각함엔 '각 읍면동 전기차 충전시설 급속으로'이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글쓴이에 따르면 전북의 각 주민센터에 전기차 충전시설이 설치되어 있으나, 급속이 아닌 완속이어서 사용시 불편하다는 내용이었다.

해당 충전시설을 이용 충전시엔 최소 4~5시간이 기본으로 들어간다는 사연엔 만약 급속일 경우 약 40분만에 충전이 가능하다는 내용이 국민생각함에서 큰 공감을 얻었다.

글쓴이의 댓글엔 전기차를 타고 있진 않지만 불편함이 없어야 더 많은 사람들이 전기차를 타려고 할 것이다. 지자체의 충전시설은 급속이 합당하다. 특히 행정은 기동력이 생명이다 등 다양한 글이 올라왔다.

취재 결과 도내 주민센터 전기차 충전시설은 환경부가 한국환경공단에서 유지 관리를 맡아 설치됐다.

주민센터 주차장 한편엔 대부분 완속 충전기가 95%로 설치됐으며 규모가 큰 주민센터인 경우 고속 충전기를 설치하거나 운영을 앞두고 있었다.

기자가 현장을 살펴보니, 충전시설 관리가 제각각이고 일부 주민센터는 충전구역이 명확하게 표기가 제대로 되지 않아 주민센터 이용자나 충전시설 사용자에게 혼선을 줄 소지가 다분했다.

충전시설 문제에 대한 문의를 주민센터에 제기하면 “우리가 관리하고 있지 않다”는 대응이 많다보니, 충전시설 관리와 대응 매뉴얼이 절실한 상황이었다.

심지어 한 주민센터 충전시설은 행정차량 전용주차 구역으로 쓰이는 곳도 목격됐다.

전기차 이용자들의 불만이 자주 생기는 곳 중 하나는 관광지여서 충전에 대한 수요는 높지만, 지하주차장 내에 설치된 주민센터다.

최근 전기차 차주 이모씨는 전주한옥마을을 찾았다가 주민센터에 전기차 완속 충전시설에 다른 전기차 충전하고 있어 사용할 수 없었다. 알고보니 이 차량은 전주시 소속 전기 관용차였다.

결국 주민센터의 전기차 충전시설 관리 매뉴얼 부재는 행정의 불신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제도개선이 절실해 보인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