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전북에서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는 프로젝트는 푸드플랜이다. 이미 완주군이 로컬푸드 운동을 통해 푸드플랜의 선진지로 발돋움한 가운데 여러 시군들이 시스템 구축에 적극 나서는 중이다. 지난 8일 군산시가 ‘먹거리 위원회’ 가동에 들어간 것을 필두로 김제시, 진안군 등도 올해 안 푸드플랜 체계 구축과 본격 가동을 계획하고 있다.
또 진안군은 농림축산부 주관의 푸드플랜 아카데미의 실행전략 수립과정에 참여해 15일 최우수 기관상 및 개인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진안군은 평가에서 구체적인 실행전략과 실현 가능성 있는 내용은 물론 적극적인 태도, 열정적인 발표 등 모든 면에서 호평을 받아 수상을 하게 됐다.
김제시 역시 실무추진단 워크숍과 영상콘텐츠 공모전 등을 통해 푸드플랜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전략을 추진 중이고 시민들의 공감대 확산에도 힘을 기울이고 있다.
푸드플랜은 다소 생소한 컨셉이다. 흔히 지역 내 먹거리 순환 종합전략이라고 부르는데 먹거리를 생산하고 유통하고 소비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이슈를 통합 관리하는 개념이다. 로컬푸드의 지역 내 선순환이라고 할 수 있다. 출발은 포컬푸드 직매장과 지자체 공기업의 구내식당, 학교 급식을 중심으로 신선하고 안전한 지역농산물을 공급하고 소비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전통시장과 가공업체, 외식업체, 대형마트의 참여도 활발하다. 생산 주체는 지역 내 중소농가와 대농 · 전업농가다.
푸드플랜이 추구하는 바는 ‘건강한 주민, 지속 가능한 농업, 더불어 사는 지역 경제’로 축약할 수 있다. 그러니까 생산자인 농민과 소비자인 지역 주민 모두 이익을 볼 수 있는 먹거리 관리체계라고 보면 된다. 이를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친환경 기획생산, 취약계층을 위한 먹거리 복지 확대, 환경 보호까지 도모한다는 것이다.
앞으로 푸드플랜이 안고 가야 할 과제는 만만치 않다. 우선 지자체의 강력한 의지와 재정적, 제도적 뒷받침일 것이다. 또 급식단체나 청년네트워크, 사회적 경제조직 등 여러 조직들이 거버넌스를 형성하는 것도 필요하다.
이와 함께 소비 주체인 주민들의 공감대와 참여는 매우 중요하다. 주민들이 외면하는 푸드플랜은 설 자리가 없다. 민관 협력체제가 긴요한 이유다. 공론화와 합의 없이 지자체만 앞서 갈 경우 그 결과는 뻔하다. 군산시의 경우 관 주도를 탈피해 시민과 관련 단체와의 소통 협업을 원칙으로 삼고 있다. 전북에서는 일단 지자체들의 적극성과 전략적 접근은 합격점인 만큼 이를 주민들과 소통하고 공유하며 협력을 도모하는 것이 당면 과제라고 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