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운동 100주년을 맞는 해다. 3·1운동 정신은 기억으로 존재한다. 기억으로 저장됐을 뿐 아직까지 제대로 이해되고 공유될 기회를 갖지 못했다. 지역의 3·1운동 정보를 담아 3·1운동 정신을 공유하고자 한다.<편집자주>

 

△ 장터에 울려 퍼진 “독립만세” 전주

전주에서의 3·1운동은 1919년 3월 13일부터 4월 3일까지 전개됐다.

3월 1일 서울에서 온 인종익으로부터 독립선언서 1000장과 함께 서울에서의 상황이 전주 천도교구실에 전달됐다.

천도교구 직원 김진옥, 배상근 등이 독립선언서 수천 장을 등사하는 등 만세시위 준비가 이뤄졌다. 천도교 신자 김태경, 민영진, 서호순, 유선태, 유원 등은 전주 읍내의 도로, 기타 요소 및 각 면에 독립선언서를 배포하고 만세 시위를 계획했다.

개신교계는 신흥학교와 기전여학교가 중심이 돼 만세운동을 계획했다. 김가전, 김종곤, 윤건중, 이수연, 최종삼 등이 학생들을 동원했고, 김한순, 박태련, 유병민, 최종삼, 함의선 등은 신흥학교와 기전여학교의 일부 학생들과 신흥학교 지하실에서 태극기와 독립선언서를 준비했다.

3월 13일 전주읍 장날, 정오경 남문에서 울려나오는 인경 소리를 신호로 천도교와 개신교 신자, 신흥학교와 기전여학교의 학생들을 중심으로 150여명이 남문시장에서부터 태극기를 들고 만세 시위를 시작했다.

학생들은 장꾼 등에게 태극기와 독립선언서를 배포했다. 남문에서 공립제2보통학교, 대화정을 지나 대정정 우편국 앞까지 행진했다. 우편국 앞에서 총을 발사하는 일제 경찰과 부딪친 만세 시위대는 일시 해산했다가 오후 3시께 다시 모여 본정 우편국까지 행진했다.

일제는 헌병과 소방대원 50여명을 동원해 만세 군중에게 물을 끼얹고 소방 갈구리로 부상을 입혔다. 그날 밤에도 개별적인 만세 시위는 지속됐다. 이날의 만세 운동으로 전주 읍내에서 3백여 명이 검속됐다.

전주의 3·1운동은 3월 중순부터 4월 초까지 20여일간 지속됐다. 학생과 천도교·기독교계 인사, 시민이 함께했다.

이후 김제, 부안, 옥구, 이리, 익산, 임실, 정읍 등 전주 인근 지역의 3·1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전주지역 3·1운동 발상지인 남부시장 매곡교 인근에는 전주 3·1운동 발상비가 조성됐다./권순재기자·aonglhus@

 

△ 독립의 함성에서 평화와 통일로

3월 9일에는 전주에서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만세 재현과 특별공연 등 대대적인 기념행사가 열린다.

전주시는 전주 풍남문과 경기전 광장 일원에서 ‘독립의 함성에서 평화와 통일로’ 주제 아래 다양한 3·1운동 100주년 행사를 준비하고 있다.

이날 신흥고에서 충경로, 팔달로, 풍남문까지 전주 3·13 만세를 재현하는 퍼레이드가 진행된다.

또 풍남문에 차려진 특설무대에서 특별공연과 함께 100주년 기념식, ‘김인전 목사의 독립만세 외침’ 공연(독립선언서 낭독), 전주 미래 100주년 선포식, 시민 대합창단 공연이 펼쳐진다.

이번 행사에는 시민과 시민·종교단체, 학생, 관광객 등 5000여명이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민 참여로 풍남문과 경기전 광장에서 어린이 태권도 시범단 및 버스킹 공연도 진행된다.

이와 함께 전주지역 3.1운동 주요 유적지와 동학혁명기념관, 전주시청 등에서 100주년 기념 걷기대회, 기록물 전시회, 시민 특강 등이 열린다.

전주시는 기념행사 외에도 미추서 독립유공자 추서, 무명 독립유공자 기념비 건립, 기념비 및 일재 잔재물 정비, 신흥중·고 버스정류장 3·1운동기념 승강장 탈바꿈 등의 사업에서 성과를 보이고 있다.

미추서 독립유공자 추서사업은 ‘전주지역 3·1운동 역사 및 100주년 기념사업 발굴 학술용역’을 통해 발굴된 사업으로, 전주지역 3·1운동에 참여한 인물 61명의 판결문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발굴됐다.

지역의 3·1운동을 이끌었던 61명 중 27명은 독립유공자로서 정부 포상을 받았지만, 나머지 34명은 이들의 업적에 대한 제대로 된 조사가 이뤄지지 않아 공로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진이 수집한 34명에 대한 공훈기록은 지난해 10월 보훈처에 전달, 3명에 대한 서훈이 확정돼 후손을 찾고 있다.

무명 독립유공자 기념비 조성은 당시 학술용역에서 제시된 의견으로, 3·1운동 10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 공모사업에 선정돼 특별교부세 1억원을 확보한 상황이다.

전주에서의 3·1운동은 남부시장 장터를 시작으로 열리는 등 무명의 참가자가 원동력이 됐다. 사업은 올해 안으로 착공에 들어설 것으로 전망됐다.

그간 전통시장에 위치해 관리에 어려움이 있던 3·1운동 발상비는 인근에 보호대와 안전난간, 기단석을 설치하는 등 지난 1월 정비를 마쳤다.

또 기린봉 초입에 세워진 이두황 단죄비, 일본 건축 양식의 다가교 석등 인근에 안내판 설치를 검토하고 있다. 일재 잔재라 해서 없애는 것만이 능사가 아니라는 전주시 입장이다. 사업은 500만원이 투입돼 조만간 착수에 들어설 것으로 보인다.

구한말 무관인 이두황은 주로 전라도에서 친일부역자로 활동했다. 그는 동학농민군 토벌·학살에 앞장섰고, 1895년 을미사변 땐 명성황후 시해에 앞장선 인물이다.

전주시 자치행정과 관계자는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시민이 주체가 돼 참여하는 축제의 장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는 시민 대통합 및 3·1운동 가치 확산의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기념행사 뿐 아니라 우리가 갖고 있는 3·1운동 자원을 보존하고 활용하는데 힘쓰겠다”고 말했다./권순재기자·aonglhus@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