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권 교수

현, (주)본스포츠재활센터 대표원
현, 전주대학교 운동처방학과 겸임교수
전, 서울아산병원 스포츠건강의학센터 실장
유튜브: 전주본병원 재활운동TV

 

성장판이 가장 많이 열려있는 유소년이나 닫히기 전인 청소년시기에는 성장통(오스굿씨병)으로 고생하는 경우를 흔히 보게 된다. 일반적으로 성장통을 느끼기 이전에 근육이 단축되기 때문에 근육통이나 쥐가 나는 경우를 먼저 보게 된다. 그러나 운동선수의 경우에는 성장판이 열려 있는 시기에 반복적으로 뼈에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성장판 주변에서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성장통이 왔다는 것은 훈련량이 너무 과도하게 많았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적절한 휴식을 병행하면서 통증이 없어질 때까지 훈련을 중단하고, 스트레칭을 많이 하는 것이 좋다. 

▲ 성장통 X선

성장통은 정강거친면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 그 다음으로는 발꿈치의 골단에서 발생하거나 골반뼈 상단에서도 발생한다. 발꿈치뼈에서 성장통의 일종인 골단염은 통증을 호소하는 부위가 아킬레스건염 부위와 다소 유사하기 때문에 혼동할 수 있다. 그러나 발꿈치뼈의 안쪽과 가쪽 측면을 눌렀을 때 통증이 있다면 골단염으로 의심해야 한다. 때로는 넙다리곧은근이 시작되는 골반뼈의 위앞엉덩뼈가시(전상장골극)에서 통증이 발생된다. 예를 들어 축구선수의 경우 킥을 하기 위해 순간적으로 다리를 후방으로 뺄 때 넙다리곧은근이 길어지면서 골반뼈를 잡아 당기기 때문에 골단염이 발생하는 것이다. 

성장통이 발생될 때는 초기에 관리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통증을 느낀다면 이미 늦는 경우가 많다. 즉, 오랜 기간 동안 하던 스포츠활동을 중지하고 휴식과 재활을 병행해야 하기 때문이다. 통증이 발생하기 이전에 불편한 증상이 있을 때 병원을 찾아 X선 검사를 받아보고, 전문의의 소견을 들어야 한다. 그러나 이 시기에 대부분은 의료적 처치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증상에 대해 너무 가볍게 보고

▲ 성장통 표피

휴식만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성장통의 증상이 발생하기 이전에 좀 더 적극적인 처방을 받아야 한다. 더 효과적이고 빠르게 훈련으로 복귀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첫째, 성장통의 증상이 있거나 의심이 된다면 최초 2주 동안에는 하던 스포츠활동은 중지하고, 넙다리네갈래근과 장딴지근, 가자미근의 스트레칭을 권장한다. 필요하다면 이 시기의 목표를 키가 클 수 있도록 절호의 타이밍으로 세워야 한다. 신체의 모든 근육을 부드럽게 스트레칭하고, 성장판에 적절한 자극이 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 중3 축구선수 성장통

둘째, 보행과 움직임 패턴을 분석하여 신체 골격의 정렬상태가 올바른지를 확인하고, 필요하다면 교정을 해 주어야 한다. 교정을 할 때는 단순히 매뉴얼치료보다는 짧아진 근육은 늘리고, 약한 근육은 강화시킬 수 있는 운동처방을 해 주어야 한다.
셋째, 근육운동 시에는 약한 강도에서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반복해 줌으로써 근막이 긴장하거나 딱딱해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인위적인 도구를 활용한 근막이완보다는 자의적인 근수축을 하는 것이 근육을 더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넷째, 점차적으로 무릎관절의 각도를 크게 하면서 강도를 높여야 한다. 
성장통, 절대 우습게 보지 않아야 한다. 반드시 증상 초기에 진단을 받아야 하고, 치료와 예방을 위해서는 근육의 스트레칭과 적절한 근력운동이 최선임을 알아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