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고령·저소득층의 빚더미 무게가 다른 지역에 비해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은 다른 지역보다 좋지 않은 경제 여건에 처해 비은행권 이용자와 다중채무가자 급증, 전국 평균을 크게 상회하고 있어 연쇄적인 파산 현상을 막기 위한 대안이 시급하다.

한국은행 전북본부가 14일 발표한 ‘전북지역 가계부채 현황 및 잠재리스크 점검’에 따르면 도내 가계부채 규모는 26조 7,000억 원이다. 기준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전북의 대출은 여전히 코로나19 이전 수준보다 높고 올해(2분기) 차주 1인당 가계부채는 7,400만 원이다.

문제는 도내 대출 비중이 50대 이상 고령층에 쏠려있다는 점이다. 이들의 2분기 대출 비중은 총 50.4%에 달했고 70대 이상의 대출(273.7%)이 큰 폭으로 상승했다. 또한 60대 이상 연령층 내에서 저소득층 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24.4%로 다른 나이대에 비해 높았다. 고령층은 본인의 소득에 비해 가계대출 크게 의존하고 있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더군다나 도내 고령층 대다수가 비은행권을 이용하고 있는 점도 심상찮다. 2분기 비은행권 비중은 59.8%이다. 이는 전국 평균(40.5%)을 훌쩍 넘어선 수치다. 전북 중·저소득과 중·저신용 차주의 2분기 대출 비중도 전국 평균보다 높은 편으로 각각 43.7%, 28.0%를 기록했다. 특히 다른 지역보다 열악한 소득, 신용 상황 등의 이유에서 비은행권을 이용하는 대출 차주가 대폭 증가했다. 여건이 좋지 않은 상황일수록 은행권 이용이 어려워 비은행권 대출 비중이 높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다중채무자도 증가세다. 도내 다중채무자 대출잔액(32.6%) 비중은 7개도 평균보다 소폭 낮지만, 전국 평균보다는 높은 수준이다. 코로나19 기간에 소득 감소를 겪은 차주를 중심으로 다중채무자가 늘어난 것이다.

아울러 점포 수를 줄이고 있는 다른 업종과 다르게 이미 곳곳에 존재하던 상호금융은 오히려 점포를 늘리고 있어 대면 금융거래를 선호하는 고령층에 영향을 끼쳤다. 현재 전국에 있는 은행 점포 수는 지난 2019년(6,758개)보다 13.5%가 감소한 5,848개이며 상호금융 점포 수는 지난 2019년(9,963개)보다 1.9% 증가한 1만 159개이다. 즉, 상호금융 점포 수는 은행 점포보다 2배가량 많게 주변에 자리 잡은 꼴이다. 이러한 이유로 전북지역 고령층은 여타 연령층보다 상호금융 대출 비중(61.9%)이 높다.

도내 한 경제 관련 전문가는 “가계부채가 늘어난다는 것은 지출하는 돈이 줄어든다는 얘기인데 이는 경제 불황을 더 심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해석된다”며 “경제 악화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취약계층의 원리금 상환 부담이 가중되면 연체율 상승 등이 발생할 수 있어 금융권 전체에 고정금리를 비롯한 다양한 대책의 필요성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비은행금융기관으로 대출이 몰리고 있다는 게 결코 좋은 현상은 아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