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의 고령화 속도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노령인구 급증에 따른 노후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노후 생활의 버팀목인 노령연금 수령액이 전국 최하위 수준이기 때문으로 노후에 대한 불안감 해소를 위한 중장기 대책이 절실해 보인다.

2일 전북도 및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지난 8월말 기준 국민연금 중 노령연금을 받는 도내 노인들의 평균 월 수령액은 28만355원(수급자수 14만2366명)으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전남(26만9671원)에 이어 최하위를 기록했다.

이는 전국 평균 월 수령액(34만6000원)보다 낮은 금액으로 1인가구 최저생계비 61만7281원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또한 부부가 함께 받을 경우도 56만원선에 머물고 있어 별도의 생계유지를 위한 생산활동이 필요한 상황이다.

수령액에 있어서도 지역별 양극화를 보였다. 월 수령액이 가장 많은 지역은 울산으로 평균 47만9000원을 수령했다. 이는 전북에 비해 41%나 높은 수준이며 금액으로는 19만8645원이나 차이가 났다.

울산 다음으로는 서울(38만2000원), 경기(36만8000원), 인천(36만5000원), 부산(36만2000원), 대전(35만9000원) 순으로 수령액이 컸다.

반면 전북(28만355원)을 비롯해 전남(26만9671원)과 충남(29만4000원) 등 농어촌이 많이 포함된 지역은 수령액이 30만원에 채 못 미쳐 지역간 노후준비 ‘불균형’ 해소가 필요해 보인다.

이처럼 수령액이 지역별로 차이가 나는 것은 각기 다른 소득 수준과 연금 가입기간의 차이가 수급액 격차를 벌려놓은 것으로 해당지역의 경제수준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즉 소득 수준이 낮으면 연금 납부액이 적어 수령액도 적고 반대로 납부액이 많으면 수령액도 많이 받게 되는 것으로 정규직 노동자나 고소득자의 많고 적음에 따라 노후에 있어서도 ‘연금 양극화’가 이어지는 셈이다. 그만큼 전북지역 경제사정이 열악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때문에 고령화 진행 속도가 대한민국 최고 수준인 전북은 노령화 사회를 대비한 관련대책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전북의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33만2000명으로 전체인구 179만 8000명의 18.5%를 차지하며 앞으로 4년 후면 인구 5명 중 1명이 고령자인 시대에 도래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도내 노인복지 한 전문가는 “도내 65세 이상 노인 3명 가운데 1명은 최저임금을 못 받고 있는데다 노인 80%가 부족한 생활비를 마련하기 위해 경제활동을 하고 있다”며 “전북지역 노인들이 불안한 노후 생활을 보내지 않도록 현재 정부나 전북도가 추진하는 노인정책이 단기 처방보단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종합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노령연금은 10년 이상 국민연금 가입자가 일정 연령 이상이 되면 받게 되는 연금이다. 국민연금은 노령연금 외에 장애연금, 사망자의 유족이 받는 유족연금으로 구성된다./김대연기자·re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