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청년들이 낮은 취업률과 비정규직 일자리 증가라는 악순환의 늪에서 빠져 나오지 못하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지역 경쟁력을 갖추고 있고 고용창출 효과가 높은 산업의 집중 육성과 서비스 산업의 균형 있는 성장, 산업 수요 대응형 인재육성을 통해 안정적인 취업 활동을 보장할 수 있는 복지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23일 전북도와 전북경제통상진흥원, 전북창조경제혁신센터는 지역의 고용 불안정과 청년취업난 등 심각한 사회문제로 청년들이 겪고 있는 난관극복을 위한 정책적인 대안을 모색하고자 청년정책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군산대 사회복지학과 강영숙 교수는 ‘전북청년정책 왜 필요한가’라는 주제의 기조발제를 통해 전북 청년들이 직면한 낮은 취업률과 비정규직 일자리 증가는 소득 불안정으로 이어져 결혼과 출산에도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면서 청년정책 활성화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강 교수의 기조발제 자료에 따르면 도내 청년 고용률은 지난 2004년 37.1%에서 2011년 29.2%로 급격한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전국 평균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었다. 경제활동인구에서도 청년층의 활동이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 도내 청년취업과 청년층 인구의 이탈현상에 대한 대책마련의 시급성도 지적됐다. 전북연구원 김시백 박사는 ‘전북 청년일자리 문제’ 보고서를 통해 청년층 이탈로 경제활동인구가 줄어들면서 전북 전체의 경제활성화에 큰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전국 청년층의 경제활동인구는 지난 2000년부터 지난해까지 14년간 13% 감소한 반면, 전북지역은 2배인 26%가 같은 기간에 감소했다.

또한 사회·경제적인 측면에서 진입초기 단계의 연령대인 20대 후반과 30대 초반의 청년층 감소폭이 매우 컸다.

지난 14년간 20대 후반은 64%가 줄었고, 30대 초반의 경우 76%나 줄었다. 전국 평균보다 청년층의 경제활동인구가 감소한 것은 자연적인 인구감소 요인보다는 청년층이 일자리를 찾아 떠난 측면이 더 크게 작용했다.

도내 전체적인 고용률이 50% 중후반대를 유지하는 것과 달리 청년층의 경우 급격한 변동폭을 보일 정도로 안정적이지 못한 상황이다. 그 만큼 시간·계약직 등 비정규직 일자리가 많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특히 도내 소재 대학출신의 지역내 취업률은 53.5%로 평균 이상을 보이고 있지만 타 시도 대학출신의 지역내 취업률은 8.3%로 전국에서 가장 낮아 일자리를 찾아 고향을 등진 도내출신 대학생들은 46.5%에 달하고 있어 이탈현상에 대한 방안마련이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김대연기자·re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