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 주체인 가계가 미래의 소비를 위해 현재의 소비를 줄이는 경향이 심화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또한 소비부진은 인구 고령화 등에 따른 노후부담 증대와 고용불안의 지속 및 소득불균형의 심화와 함께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경제의 불확실성 증대 등으로 가계의 소비결정과 관련된 주관적 태도, 즉 현재와 미래간 시간선호(time preference)가 달라져 경제주체가 소비를 미래로 이연시키고자 하는 경향이 강화됐기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
10일 배병호 한국은행 조사국 모형분석팀 차장 등은 '최근 소비 부진과 가계의 시간선호 변화' 보고서를 통해 "가계의 미래 소비에 대한 시간 선호가 2000년대 이후 시간할인인자를 중심으로 꾸준히 상승하면서 최근 소비 부진의 일부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가계의 시점 간 소비균형식 추정에서 시간할인인자는 1990∼1999년 0.982에서 2000∼2013년 0.991로 높아졌다. 시간할인인자는 미래소비를 통해 가계가 얻게 될 기대효용에 대한 가중치로, 할인인자(0∼1 사이)가 클수록 가계는 미래를 위해 현재 소비를 줄이려는 경향이 커진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보고서는 시간할인인자가 2004년 이후 가파르게 상승했으며, 특히 2004년 신용카드 사태 때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는 시간할인인자의 변화가 소비, 생산, 고용을 감소시키면서 거시경제에 충격을 줬다고 진단했다.
또 현재와 미래의 소비수준 차이에 대한 가계의 기피 정도를 보여주는 상대적 위험 기피도도 1990년대 0.005에서 2000년 이후는 0.252로 높아진 것으로 분석했다.
배 차장은 "시간선호 변화는 인구고령화에 따른 노후 부담 증가, 고용 및 소득 불안, 경제의 불확실성 증대 등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며 "사회안전망 강화, 고용안정성 확보 등 미래소득에 대한 불확실성을 낮추고 경제주체의 기대심리를 개선시키는 정책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김동규기자·kdg2066@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