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연합뉴스

 

최근 일부 중견 건설사들이 경영난으로 도산 위기에 내몰리면서 전북지역 건설사들의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지역 건설사들은 외지업체들이 정비사업 시공권을 독차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를 타개 위해서는 용적률 인센티브 도입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은다.

25일 도내 건설업계 및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 등에 따르면 올해 들어 부도난 건설사는 총 6곳이며 이들은 경북, 경남, 울산, 광주, 제주 등 지방 소재 전문건설사로 도급순위 상위권의 중견 건설사들이다.

전북에서도 중견 건설업체에 대한 자금난과 위기설이 돌면서 중소 건설사들을 중심으로 연쇄 부도가 일어날 수 있다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중견 건설사 1곳이 무너질 경우 이에 딸린 100여 곳이 넘는 하도급 업체도 같은 길을 가야 하기 때문이다.

현재 전북지역 1166개 종합건설사 가운데 지난해 손익분기점인 50억원 이상을 수주한 업체는 85개사에 불과하다. 402개사는 공공공사를 단 한 건도 수주하지 못한 상태다.

전북지역의 대형 공공시장은 이미 외지 대형건설사들이 독식하고 있는 상황에서 불경기로 민간 건설공사마저 크게 위축돼 상당수 건설사들이 개점휴업상태를 맞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민간 건설시장만이라도 지역업체들의 일감 확보를 위한 방안 마련이 적극적으로 모색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현재 전주시는 송천동 에코시티와 감나무 골 재개발 아파트 건설공사 같은 대형 민간공사에 지역업체 하도급 확대와 지역자재 사용을 권장하면서 하도급계약이 45%, 자재사용이 67.1%에 이르고 있다.

하지만 원청시공 대부분을 외지 대형건설업체들이 도맡다 보니 연간 수조원 이상의 지역 자금이 외지로 유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해 대구시는 정비사업 시공에 지역 업체 참여시 용적률 인센티브 비율을 기존 15%에서 20%로 확대하기 위해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을 변경했으며 부산과 대전에서도 지역업체들에 대한 용적률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있다.

반면 전주시는 2030 도시주거정비 기본계획에 이 같은 제도가 담겨는 있지만 아직 의회 승인 절차가 남아 있어 용적률 인센티브 비율 등 구체적인 계획안이 확정돼 시행되기 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소모될 것으로 보인다.

도내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최근 진행된 감나무골 청약대박 여파로 전주지역에 정비사업 추진이 잇따르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제도 시행이 시급히 요구된다면서 지역 업체들도 불안감에 떨기 보다는 업역 다각화와 전문화로 현재 위기를 극복해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