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전북특별자치도의 조혼인율이 3.1건, 조출생률이 3.8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낮았다고 한다.

조혼인율과 조출생률은 혼인과 출생에 관한 가장 기본적인 지표로 1년동안 인구 1천명당 혼인과 출생건수를 의미하는 통계학적 용어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2023년 혼인?이혼 통계에 따르면 작년 도내지역 혼인 건수는 2022년보다 89건증가한 5483건으로 집계됐다.

 도내 조혼인율은 3.1건으로 세종 4.4건, 전국 평균 3.8건보다 낮아 2년 연속 최하위를 나타냈고 조출생률도 3.8명으로 전국 17개 시도중 가장 낮았다.

 2022년도 조혼인율은 세종시와 경기도가 각각 4.4건, 4.0건으로 가장 높았고 경상남도?부산?대구광역시가 3.2건, 경상북도 3.1건으로 3.0건인 전북이 최하위를 나타냈다. 

코로나 시기에 결혼을 미뤘던 예비부부의 혼인이 지난해부터 본격화돼 조혼인율이 약간 증가 했지만 출생아수는 2022년 7천명보다 지난해 4백명이 감소한 6600명에 그쳐, 전북 인구감소세가 예상보다 가팔라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혼인건수가 줄어든 것은 결혼적령기 청년들의 결혼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와 경제적 상태 등 여건이 좋지 못한 것이 주원인이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지난해 전국 남녀 2천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결혼에 긍정적인 사람이 51.7%인 반면, 부정적인 사람은 24.5%에 이르고 결혼을 한다해도 자녀를 낳지 않겠다고 대답한 사람이 46%에 달해 절반가량이 출산을 기피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혼인율 감소는 우리나라를 비롯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 전체가 2000년대 초반부터 비슷한 행태를 보이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이들 나라의 혼인율 감소는 우리나라와는 다르다고 한다. 동거라는 가족형태가 법으로 인정돼 혼인율 감소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지만 출생률 급락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 김영철 서강대 교수는 한반도 미래인구연구원세미나에서 비혼동거를 제도적으로 포용하는 등 가칭 ‘동반가족등록제’를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 관심을 모았다.   

이제 우리 사회도 변화되는 사회상에 맞춰 청년세대에 적합한 가족지원 체계를 갖추는등 인식변화가 필요할 것 같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