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연합뉴스

 

전북지역 건설현장의 고령화와 청년 이탈로 지역 건설업이 위기를 겪고 있다.

사람 일손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건설현장에는 숙련된 인력이 줄면서 부족한 현장 일손은 외국인 근로자가 메우고 있지만 현장기술을 전수할 도내 인력이 없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18일 도내 건설업계 등에 따르면 건설근로자는 건설 현장의 특성상 다양한 생산물을 만들어 내고 다양한 작업 조건에서 근무하므로 반복적인 경험을 통해서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시공 경험을 바탕으로 한 기능인력이 대부분 현장을 진행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실내건축, 건축도장, 방수, 거푸집, 철근 온수온돌 공사 등으로 이들 공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기술력을 가진 기능인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청년층이 건설현장 취업을 기피하면서 지역 건설근로자의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실제 실내건축 공사의 대부분을 시공하는 목수의 경우 60대도 찾아보기 힘들 정도며 70대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건설근로자공제회에서 집계한 최근 자료를 보면 전체 건설노동자 중 82.4%40대 이상이었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연령대인 50대는 35.4%, 뒤이은 60대가 24.0%였다. 가장 활발하게 경제활동을 하는 시기인 30대의 비율은 11.3%에 불과했으며 20대는 6.6%였다.

때문에 전북은 물론 전국적으로 외국인 근로자 의존도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골조작업 중 상대적으로 고강도의 근력을 필요하는 알폼(알루미늄 거푸집) 설치 작업의 경우 내국인은 물론 외국 근로자조차 기피 현상이 심해 불법체류 인력이 없으면 사실상 현장이 제대로 돌아가지 않고 있다.

산간오지에 있는 SOC 토목현장은 건축 공사현장보다 근로 조건이 상대적으로 열악해 외국인 근로자가 태반이다.

문제는 그동안 숙련된 기술을 전수할 내국인이 없어 외국 노동자에게 전수할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도내 중견건설업체 한 관계자는 도내 건설 기능인력 대부분이 60대 이상 인데 숙련 기능을 전수할 젊은이가 외국인 근로자 밖에 없어 미래의 전북 건설산업이 중단되는 게 아니냐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면서 숙련 기능인력 육성을 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