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조 원대 경제적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기대 속에 추진됐던 ‘군산형 일자리 사업’이 3년 만에 종료됐다. 더 이상 정부 예산 지원은 없지만 기업들과 맺은 상생 협약은 계속된다. 하지만 사실상 사업이 마무리된 지금의 평가에 대해 그리 좋은 점수를 주지 않는다. 침체한 군산 경제를 살리고 전북경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겠다며 정부와 지자체가 전기차의 메카를 목표로 수백억 원의 지원금을 쏟아부었음에도 아직도 중국산 부품 들여와 조립해서 판매하는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은 분명 기대 이하기에 그렇다. 

군산형일자리 참여 기업 4곳이 창출한 일자리는 530개로 목표치의 30% 수준에 불과하고 위탁 생산량도 목표 물량 32만여 대의 1.3%인 4,300여 대에 그쳤다. 미국, 중국 등의 해외 수주를 극대화해 고용을 확대하고 경제적 부가가치 창출에 힘을 더하겠다고 했지만, 대량생산 시설도 갖추지 않고 보조금, 지원금, 면세 등의 혜택을 통해 겨우 명맥만 유지한 지난 3년이었단 비판이 나온다.

그동안 3,400억 원을 들여 추진했던 15개 군산형일자리 사업 대부분이 기반 시설 조성에 투입되면서 단기간 성과를 내기는 역부족이었단 지적이 없는 것은 아니다. 심각한 고용 위기 상황에 전국 최초로 양대 노총이 참여한 상생 모델 일자리 모델로 출범해 2017년 52.6%였던 군산지역 고용률이 매년 소폭이나 상승하며 지난해 말 기준 58.8%까지 증가하는 성과를 뒷받침하기도 했다. 군산 국가산단의 친환경 모빌리티 전환, 10조 원대의 이차전지 기업 유치 과정에 있어 도움을 줬다는 분석도 있다. 

체감할 수 있는 성과는 크지 않아도 간접적인 지원 효과를 부인해선 안 되고 에디슨모터스를 인수한 KGM커머셜을 비롯해 대창모터스 역시 올해부터 공격적인 경영을 예고하고 있는 것은 다행이지만 부진한 성과에 대한 비판은 깊이 새길 일이다. 특히 성과에 대한 비관론이 적지 않음에도 기대를 접지 않는 건 군산형일자리 사업이 전북 미래 성장을 주도할 한 축임이 분명해서다. 농식품산업 중심의 익산형일자리 사업, 탄소 중심의 전주형 일자리 사업으로 이어지게 한 첫 시작도 군산형일자리 였다. 스스로 서는 자생력과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결실을 보아야 한다. 군산이 성과를 내야 익산과 전주도 상생할 수 있음을 간과해선 안 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