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조은우 기자
/그래픽=조은우 기자

전북특별자치도의 청년층 취업률이 전국에서 하위권에 머물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양질의 일자리 부족에 따른 지역인재 유출이 지역 경제의 악순환을 부추겨 기업 유치 등 실질적인 유인대책을 마련하고 일자리를 확대하는 데 속도를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8일 본보가 국가통계포털 KOSIS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평균 청년(15~29세) 고용률은 38.8%로 전국 도별 평균(46.4%)을 밑돈다.

분기별 전북의 청년층 고용률은 대체로 하위권이다. 1분기는 전남(38.3)에 이어 도내(37.4%)가 두 번째로 낮았으며 2분기에도 전북은 같은 수치였으나 전국에서 최하위를 기록했다. 이후에도 비슷하다.

무엇보다 심각한 건 지난해 도내의 전체 경제활동인구 중 청년층의 수는 절반도 안 된다는 것이다. 먼저 분기별 경제활동인구 수는 1분기 98만 1000명, 2분기 101만 9000명, 3분기 102만 2000명, 4분기 101만 명이다.

그러나 청년층의 경우 1분기 12.1%(11만 8000명), 2분기 11.6%(11만 8000명), 3분기 11.7%(12만 명), 4분기 11.4%(11만 5,000명)로 1년간 10%대에 그쳤다.

이에 일각에서는 청년층 유입을 위해 질 좋은 일자리를 창출하는 등 기업의 니즈를 파악하고 도내에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유도해 기업 유치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전북자치도 일자리센터 관계자는 "도내 청년들이 선호하는 일자리는 공기업이나 국가기관, 대기업들에 대한 바람이 높은 상황이다"면서 "취업을 준비하는 이들의 문의를 통계화하지 않아 정확하게 말할 순 없지만 관련된 내용으로 꾸준히 문의 접수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청년층의 경제활동 수치는 낮지만, 전북의 고용률과 취업자 수는 증가하는 추세다.

통계청 전주사무소가 발표한 ‘1월 전북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도내 경제활동인구는 98만 3000명으로 지난해 동월보다 2.5%(2만 4000명)가 증가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취업자 수는 지난 2023년 대비 2만 1000명(2.2%)이 늘어난 총 95만 명이다. 고용률도 61.2%로 동기간보다 1.5%포인트, 실업률은 3.4%로 동기간 0.2%포인트 상승했다.

직업별로는 기능·기계조작·조립단순 2만 5000명(8.4%)으로 가장 많이 증가했고 관리자·전문가 1만 1000명(6.8%), 사무종사자 3000명(2.2%)이 늘었다.

동기간 종사상 지위별 취업자 증감 추이는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는 5000명, 임시근로자는 3000명으로 각각 1.2%, 2.5% 증가했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