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통의 부재로 때론 관계가 틀어지거나 깨지기도, 때론 더 큰 갈등이나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정유리 작가는 이같이 상대방과 원활하지 못한 소통으로 인해 생긴 내면의 트라우마를 주제로 작업하며 회복을 꿈꾼다.

청목미술관이 아티스트 레지던시 결과보고전으로 정유리 작가의 ‘way out’23일부터 29일까지 선보인다.

작가는 작품에 구멍()을 도입해 소통이라는 상징적인 의미를 부여한다. 답답하게 갇혀있는 벽이 아닌 시원하게 뚫린 공간을 통해 소통하고자 함을 기호적 이미지로 표현하는 것.

직접적인 언어의 대화가 아닌 작품을 통해 관람객과 소통하고, 이를 통해 불안감을 해소하는 희망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한다.

전시명 ‘way out’은 출구라는 의미로 탈출하고자 마음을 캔버스에 옮겼다. 작가의 마음에 불완전한 소통으로 인해 생긴 트라우마를 표출하는 매개체로서의 의미를 담았다.

이번 전시는 평면작업 17점과 설치작업 5점 등 22점으로 구성된다. 설치작업의 주된 재료적 이미지로 선택한 것은 가죽이다. 가죽은 생명체에서 가장 표면에 위치하며, 세상과의 대화에서 직접적으로 마주하는 겉 피부를 나타낸다.

작품에서는 더 깊게 내면의 피부로도 나아간다. 가죽의 구멍을 통해 관람객과 소통하고 대화하며 불완전한 소통으로 인해 받은 상처를 치유하고자 한다.

그는 나는 치유의 방식으로 작품을 선택했다. 작품은 직접적인 언어의 대화가 아닌 조형적 요소를 통해 작가의 감정을 나누고 공감하며 소통할 수 있는 창구가 된다고 생각한다나와 유사한 경험을 가진 사람들이 이번 전시를 통해 공감하며 위로받을 수 있기를 간절히 소망한다고 밝혔다.

작가는 원광대학교 조형예술디자인대학 미술과와 동 대학원 석사를 졸업했다. 현재 홍익대 박사과정에 재학중이다. 탄소예술기획전 탄소와 예술:연대와 확산(팔복예술공장)을 비롯해 청목 아티스트 레지던시 그룹전 전북의 불꽃 불꽃3(청목미술관), 청년작가 발굴시리즈 우화 무민세대-의미와 무의미의 경계’(복합문화지구 누에) 등 활동 이력이 있다.

청목아티스트레지던시는 청목미술관 건물 3층과 4층에 입주작가 공간을 마련해 2023년부터 운영하고 있다. 입주작가들이 예술적 교류, 협업, 장르 간 융합을 시도하고 다양한 창작 결과를 발표할 수 있는 예술가들의 장으로 활용되고 있다./정해은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