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명의 부상자가 발생한 지난 1일 부산 동구 목욕탕 폭발 사고 원인이 아직 밝혀지지 않은 가운데 전북 도내에서도 30년이 넘는 노후 목욕탕이 52개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증기폭발이란 단서는 없지만 장기간 관리 소홀 상태에서 방치된 목욕탕에 인접한 지역 주민들의 불안이 고조되고 있음은 물론이다. 

부산소방재난본부와 경찰, 국립과학수사연구원등 5곳의 유관기관이 참여한 합동감식단은 4일 최초 발화 지점과 발화 원인 파악을 위한 2차 합동 감식을 진행했다. 지하 1층 보일러 연료 탱크를 발화 지점으로 추정하고는 있지만 원인이 유증기 폭발인지는 아직 알 수 없다고 밝혔다. 사고가 발생한 날은 영업하지 않아 모든 차단기를 내렸고 전날 자체 점검에서도 기름 냄새 등은 나지 않았다고 밝힌 업주는 보일러와 연료탱크 부품 교체도 주기적으로 해왔다고 말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목욕탕이 지하에 설치한 유류 탱크들의 경우 기름방울이 쉽게 기화해 공기 중에 분포될 수 있고 갑작스러운 정전기나 열로 인해 큰 폭발로 이어질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지하 특성상 환기 등에 취약할 수밖에 없지만 정부나 지자체 등 관리기관 차원의 정기적인 점검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곳이 대부분이라 안전 점검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것도 사실이다. 폭발위험이 상존함에도 사업자가 원해야만 점검이 이뤄지는 것은 물론 폐업으로 방치된 시설물들은 마땅한 처리 규정도 없고 건물 내부 진입조차 쉽지 않아 위험을 알면서도 사실상 방치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라고 한다. 

도내 308개 목욕탕 중 절대다수인 222개는 화재 안전관리가 의무화된 업소도 아니다. 지자체가 나서서 주기적으로 안전 점검을 하고 문제 해결 방안을 논의해줬으면 좋겠다고 업주들 스스로가 요구할 정도로 문제의 심각성이 가볍지 않다. 어떠한 이유에서건 제대로 된 관리가 이뤄지지 않은 유류 저장탱크는 폭발할 수 있다는 것이 이번 부산 목욕탕 폭발 사고로 확인됐다. 그리고 이들 저장탱크를 가진 목욕탕 대부분 인구가 밀집한 도심이나 주거지역 중심에 자리하면서 더 큰 불안과 위험 요소가 됐음이 분명해졌다. 주택가 한복판 시설물에서의 폭발 사고는 상상만으로 끔찍하다. 밀폐된 다중이용업소 유류 저장탱크 폭발에 대비한 적극적인 안전대책 확대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