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기관들이 올해 하반기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추가 모집을 했지만 지원율은 모집인원의 3%가 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가 국회에 낸 자료에 의하면 전국 96개 의료기관에서 하반기 과목별 전공의를 모집했다. 그 결과 소아청소년과는 143명 모집에 4명이 지원해 2.8%의 지원율을 기록했다. 그나마 4명 모두 서울 소재 수련병원에 지원했다. 소아청소년과는 상반기 모집에서도 지원율이 15.9%로 저조했다.

이를 놓고 의료계 안팎에서는 소아과 멸종사태가 곧 닥칠 것이라며 우려하고 있다.

소아청소년과는 우리나라의 미래인 어린이들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는 막중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정작 일을 할 의사는 점점 줄어들고 있다.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는 나은 편이지만 중소도시나 농촌 지역으로 가면 사태는 심각한 국면에 접어든지 상황이다. 지방에서 서울 종합병원으로, 또 서울에서 지방 아동병원으로, 소아 중증 환자들은 입원 병상을 찾아 전국을 떠돌고 있다. 기초지자체 중 소아과병원이 없는 곳도 속출하는 모습이다.

이처럼 소아청소년과 전공 의사가 줄어드는 근본적인 이유는 출산율 저하로 소아과 병원의 운영이 어려워진 탓이다. 산부인과와 함께 소아청소년과는 그래서 의사들 사이에서 기피 과목에 속한다. 관련 의사회는 아예 폐과를 선언한 상황이다.

그러나 정부의 태도는 미지근하기만 하다. 언제부터인가 대책을 세우겠다는 발표는 이어져왔지만 정작 현시점에서도 소아청소년과 위기는 계속되고 있다. 당장 아이 환자가 입원을 못해 문제가 발발하면 정부는 병원을 압박하는 수준에서 대응한다. 관계자 문책이나 불이익 압박 등이 고작인 것이다. 전공의들이 자발적으로 소아청소년과를 지원하도록 하는 대책은 보이지 않는다.

더 지체돼서는 안 된다. 단기적으로 수련보조수당의 도입이나 전문의에 대한 세제 혜택, 소아 진료수가 가산제 확대 등 의료계가 희망하는 조치들을 취해야 한다. 중장기적인 시각으로 보면 공공의대를 통한 지역이나 기피 과목 의사 양성이 근본적인 대책이다. 일본이 2007년부터 시행 중인 의대의 지역정원제입시전형도 깊이 검토해볼 만하다. 지금 집단이기주의에 휘둘려 눈치볼 때가 아니다. 정부는 어린이 환자들이 더 심각한 상황으로 내몰리기 전에 과감한 대책을 세우고 신속하게 이를 실행에 옮겨야 마땅하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