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에서 주로 생산하는 신동진벼의 공공비축미 매입 제한이 2026년까지 유예됐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공공 비축미 매입 품종에서 신동진 벼를 제외하는 시기를 2026년까지 연장한다고 8일 밝혔다.

하지만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날 확정한 ‘하계작물 보급종 공급 계획’에서 2023년도 정부보급종으로 3464톤을 공급한 신동진·새일미 종자를 2024년도에는 1655톤으로 절반 이상 줄이겠다고 밝히면서 신동진 ‘씨말리기’는 계속될 전망이다.

정부는 신동진을 대신해 참동진(920톤), 강대찬(900톤) 종자 공급을 늘리기로 했다.

농식품부는 “쌀 적정 생산 및 품질고급화 등을 위해 다수확 및 외래품종은 점진적으로 축소하고 신품종은 확대하기로 했다”며 “각 시·도별 협의를 거쳐 정책 방향과 농업인 수요를 반영해 작물별 공급량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그동안 정부의 신동진 퇴출 움직임에 대해 전북도와 의회, 농민단체 등에서는 퇴출 반대 성명서를 발표하는 등 거세게 반발했다.

신동진 대신 다른 품종을 도입하면 농가소득 감소로 이어지기 때문.

신동진을 대체하는 참동진의 경우 지난해 시험 재배를 통해 재배면적이 3500여㏊로 늘어났지만, 판매실적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쌀값도 10㎏ 기준 3만~4만원인 신동진과 달리 참동진은 2만원대를 기록했다.

도내 농민들도 쌀 과잉생산에 대비한 정부 정책을 무조건적으로 반대하지는 않는다. 

도내 농민단체 관계자는 “농산물은 단기간에 기후, 토양 등 환경 적응이 어려워 다른 품종을 당장 보급하는 것은 무리“라며 “농민들에게 대체품종을 대비할 최소한의 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종훈 전북도 경제부지사는 "공공비축 매입 제한 정책이 유예되면 농가에 참동진 보급에 대한 계획을 제시하는 등 농가가 적응할 시간을 만들 것"이라고 했다.

신동진은 지난 1999년 농촌진흥청이 고품질과 양질의 다수확 품종육성을 목적으로 개발한 품종으로 2018년 이후 우리나라에서 가장 넓은 면적(2021년 총 재배면적 587,146ha 중 115,943ha, 19.7%)에서 재배되고 있다. 

특히, 신동진은 전라북도 전체면적의 53%가 재배되고 있을 정도로 전북 대표 품종으로 자리 잡았다./윤홍식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