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최근 ‘자립준비청년 자립지원 강화대책’을 발표했다. 내년부터 자립준비청년 자립정착금을 현행 1천만 원에서 1천500만 원으로 500만 원 인상하고 자립 후 매달 지급하는 자립수당도 40만 원으로 인상하는 것이 골자다. 자립준비청년은 보육원 등에서 생활하다가 만 18세가 돼 시설에서 나와 홀로서기를 해야하는 청년을 말한다.

  서울시는 또 정서적 지원에도 초점을 맞추고 있다. 자립을 준비하는 15세부터 정서적 교류를 나눌 수 있는 가족과 같은 시설 봉사자나 후원자와의 결연을 추진하기로 했다. 또 먼저 자립한 청년 등과 멘토· 멘티 결연을 비롯해 동아리 활동비 지원, 종합심리검사 확대 등도 포함돼 있다.
  그 외에도 자립지원전담기관을 설치하고 16명의 전문인력도 배치하며 기관 내 24시간 긴급전화도 개설하기로 했다.
  그동안 자립준비청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매우 적어 방치되다시피 한 것이 현실이다. 이런 무관심 속에 자립준비청년들의 극단적 선택이 잇달아 사회문제로 비화하고 있다. 
  사실 18세 자립이란 쉬운 일이 아니다. 가장 큰 문제는 경제적 어려움이다. 자립정착금 몇 백만 원과 5년간 지급되는 월 35만 원이 전부다. 이 돈으로 생활과 학업을 한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직업을 얻더라도 수입은 120만 원 정도에 그친다는 보고도 있다. 거기에 부실한 자립교육 탓으로 일상생활을 영위할 능력도 부족한 상황이다. 심리적 방황까지 겹치면 자립준비청년의 장래는 아주 어두워진다. 결국 자립준비청년들은 일탈의 길을 걷기 쉽고 상황이 더 나쁘면 자살로까지 이어지는 게 현실이다. 
  이번 서울시의 지원 강화는 그래서 시의적절하다.
  전북도나 일선 시군들도 이를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 우선 자립정착금과 매월 지원하는 자립수당을 최대한 올려주어야 한다. 자립정착금의 경우 서울시는 1천500만 원을 지급하는 반면 일부 시도는 보건복지부에서 권고하는 800만 원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다. 자립수당 역시 정부가 35만 원을 지급하지만 서울시는 여기에 자체 예산을 보태 40만원으로 올려주고 있다. 따라서 전북도와 시군들은 이 문제를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 것이다. 자립준비청년의 숫자가 많지 않기 때문에 예산부담은 적다고 본다.
  아울러 서울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정서적 지원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 전담기관을 만들고 긴급전화나 결연사업 등에도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자립준비청년들의 홀로서기 지원은 온 사회가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라는 점을 다시 강조해둔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