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각 지자체들이 고령친화도시 육성을 위한 대책마련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고령사회 진입을 맞아 가장 효율적인 대책의 일환으로 고령자들이 환경 변화에 불편함 없이 지낼 수 있도록 각종 정책 및 서비스를 제공해 지역 사회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도시 육성의 필요성이 제시되면서다. 지자체들의 능동적인 고령화 사회 준비가 소홀할 경우 비수도권 지자체들은 당면 현안인 ‘지역소멸’을 앉아서 맞을 수도 있다는 위기감 역시 이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이유가 되고 있다.

인천시는 지난 20일 고령화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인천시 고령친화도시 1기 3개년(2022~2024) 실행계획‘을 발표했다. 세계보건기구(WHO)의 고령친화도시 인증 절차를 밟기 위해서다. WHO는 2009년부터 세계적인 고령화와 도시화 추세에 대응하기 위해 고령친화도시 인증 사업을 추진 해오고 있다. 여기에 가입하기 위해선 WHO가 지정한 8대 가이드라인인 외부 공간과 건물, 교통, 주택, 사회참여, 존중과 사회통합, 시민참여와 고용, 의사소통과 정보, 지역사회 지원과 보건 등 각 분야에서 일정 수준을 충족해야 한다.

국내에서도 서울과 부산 세종시 등이 이미 가입해 고령친화도시를 정책 사업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도내에서도 지난 2월 완주군이 인증을 받아  선포식을 시작으로 3년간 8대 영역 69개 세부 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하지만 전북도는 고령인구비율이 전국 17개시·도 중 세 번째로 높은데도 불구하고 대다수 지자체들의 이에 대한 관심은 저조하다. 국제기구의 인증절차가 까다롭다는 건 그 만큼에 비례해 고령친화적인 도시 조성의 필요조건을 확실히 정의하고 있다는 것이기에 지자체의 보다 강력하고 적극적인 추진의지가 필요함은 물론이다. 열악한 재정여건을 탓하며 새로운 환경조성을 통한 거듭나기 노력이 저조한 것은 아닌지 돌아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고령화비율이 높지 않은 도시화된 지자체보다도 도내 지자체들의 적극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계속되고 있다. 전북은 이미 2019년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이후 그 비율이 계속해서 높아지고 있다. 오는 2040년이면 전북고령인구가 전체 인구가 절반에 육박하는 70만명이 넘어설 것이란 전망까지 나온다. 지금 대응해야 한다. 젊은인구 유입을 통한 성장하는 도시가 아니라 미래에 급증하게 될 노인인구를 위한 고령친화도시 육성에서 새로운 성장의 답을 찾을 필요가 있다는 지적을 새겨들어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