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상 위 식자재와 기름 등 모든 물가가 폭등하고 있는데 반해 쌀값 만은 폭락하고 있는데 대해 지역 농민들의 분노가 깊어지고 있다.

각 지자체와 농협도 이를 우려해 쌀 소비를 조금이라도 늘려 재고 쌀을 줄이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지역 정치권의 각성도 요구된다.

통계청이 발표하는 산지 쌀값은 지난달 25일 20kg 기준 4만5215원에서 지난 5일 4만4851원으로 0.8% 더 떨어졌다.

1년 전보다 무려 20.5%나 하락했다. 80kg 쌀 한 포대로 환산하면 17만9404원. 2018년 이후 처음으로 18만 원 대가 무너진 상황이다.

45년 만의 최대 하락 폭이다. 더 큰 문제는 올해 추곡 수매다. 전국의 쌀 재고량은 66만 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0톤가량 많다.

당장 다음 달부터 조생종 벼 수확이 시작되는 상황에서 재고까지 안고 있는데다, 수확기까지 쌀값이 계속 떨어지면 추곡 수매가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정부가 매입을 발표했지만 때는 늦었다는 지적이다. 농식품부는 지난 12일 매입물량 정곡 10만톤(조곡 13만9000톤)을 19일부터 다음달 26일까지 매입하겠다고 밝혔다.

매입대상은 도별 공개경쟁입찰로 낙찰받은 농협, 민간RPC, 농가 등이며, 대형포대(800kg) 또는 소형포대(40kg)에 포장한 검사합격품에 한해 매입한다.

양곡관리법에 따라 소비량보다 많은 ‘남는 쌀’을 정부가 격리했으나 가격안정 효과를 얻는 데는 실패했다.

모든 물가가 폭등하고 농자재값이 고공행진을 하는 가운데 쌀값만 폭락해 8월이면 햅쌀을 수확해야 하는 농가들은 물론 수확기 쌀값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전북도와 농협은행 전북본부 등에서 '쌀 소비 촉진운동'을 실시하는 등 두 팔을 걷고 있지만 농민의 고심을 해결하기엔 역부족이다.

지역 정치권이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지역 농가 관계자는 “쌀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전국 광역 지자체 중 선두권을 차지하고 있는 농도 전북의 쌀값 폭락은 지역 농민들에게 더 큰 고통으로 다가온다”면서 “정부와 정치권에서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