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물가가 거침없는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다. 6월 소비자물가상승률이 1998년 외환위기 이후 가장 높은 6.0%대로 올라선 것으로 지난해 2~3%대를 유지했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3월 4.1%, 4월 4.8%, 5월 5.4% 등 최근 들어 가파른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일상생활에서 소비자들이 자주 구입하는 생활필수품을 대상으로 작성하는 소비자물가지수 보조지표인 생활물가지수 상승률은 이보다 높은 7.4%로 치솟았다. 
정부가 물가 안정을 최우선 목표에 두고 불안심리 억제를 통한 거시경제 안정을 도모하겠다고 밝히고 있지만 거침없는 물가 상승세를 몸소 체감중인 국민들의 고통은 더욱 심해지고 있다. 고물가위기는 아직 정점이 아니라는 비관론 속에 지금과는 비교할 수 없는 물가대란이 올 수도 있다는 우려에 국민적 불안감까지 심각하게 고조되는 실정이다. 
글로벌 공급망 차질이 길어지면서 에너지·원자재 가격이 오르고 있고 코로나19 이후 일상 회복 진행 가속화가 외식 등 서비스 가격과 국내 농축산물가격의 급등이 소비자 물가 상승의 원인이 되고 있다. 물가 상승 이유를 알고 있고 대책이 없는 것도 아니지만 외적 요인에 대한 대응이 쉽지 않고 국내 물가 역시 이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으면서 통제의 한계가 나타나고 있음을 모르는바 아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치솟는 물가를 제때 잡지 못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은 상상이상이 될 수도 있음에 걱정은 커질 수밖에 없다. 고유가 지속에 외식물가 상승, 여가활동증가에 따른 서비스물가 오름세가 일부 소득계층에게 감당할 만한 수준이 될 수도 있겠지만 그보다 더 많은 소비자들에겐 더없는 고통으로 다가올 수밖에 없기에 더욱 그렇다. 
정부가 숫자로 내놓는 물가상승률에 대해 헛웃음을 짓는 국민들이다. 작년 이맘때쯤 리터당 1200원 정도였던 경유가격이 2000원을 돌파한지 오래다. 평소 4000원 하던 마트 김밥이 6000원에 달하고 깐마늘, 흙쪽파는 최근 두 달여 사이에 두세 배가 올랐다며 물가 급등을 체감한 주부들의 하소연이 각종 SNS에 넘쳐나고 있다. 전쟁, 수출제한, 작황부진 등의 불가피한 이유만 늘어놓을 일이 아니다. ‘오늘이 가장 싸다’는 말이 물가폭등이 일상이 된 중남미 국가들뿐 아닌 우리에게도 현실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단의 대책이 있어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