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이하 화물연대) 총파업이 9일로 사흘째에 접어든 가운데 전국 곳곳에서 물류 차질에 따른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 전북에서도 화물연대 노조원 2천여 명이 파업에 참여하면서 물류차질이 현실이 되고 있다. 국내 최대 도계시설을 갖춘 ㈜하림의 생닭 운반차량을 비롯한 물류차량, 사료 운반차량 등 총 302대중 절반이 넘는 180여대가 파업으로 인해 멈춰 섰다고 한다. 하이트진로 소주공급이 중단되면서 도내 유통업계 전반에 타격을 주고 있으며 대형철강 취급 공장들은 생산제품을 운송해줄 화물차를 구하지 못해 부분적으로 공장가동을 중단하는 상황을 맞고 있다. 생산량을 출하지 못해 재고가 쌓이며 공장들은 가동을 줄이고 있는 반면 일선 유통전문점들에선 정작 물품을 받지 못해 일선에 공급을 줄이는 사태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화물연대는 올해 말로 폐지 예정인 화물운송 종사자들의 근로여건 개선을 위해 도입한 안전운임제의 지속적 확대 적용과 운송료 인상, 지입제 폐지, 노동기본권 확대 등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반해 기업들은 코로나 사태로 인한 해상·항공 운송 비용 폭등을 감당하기도 버거운 상황에 안전운임제까지 지속된다면 더 이상 버텨낼 수 없다는 입장이다. 정부 역시 불법행위는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 대응하겠다는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노사 입장이 분명하고 정부역시 원칙을 강조하면서 물리적인 충돌에 이은 파업 장기화에 대한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이날 “최대한 이른 시간 안에 대화를 통해 원만하게 풀어나가겠다" 면서 그동안 의미 있는 대화가 진행 중이었음도 밝히긴 했지만 타협이란 결국 누군가의 양보가 있어야 가능하단 점에서 상황을 낙관할 순 없다.

물류대란으로 인한 고통이 최종 소비자인 일반 국민들의 몫으로 확산되는 건 이제 시간문제가 되고 있다. 국회의 법 개정 사항인 안전운임제에 대한 입장정리에서부터 필요하다면 정치권의 협조를 구하는 노력에 이르기 까지 원만한 사태 해결을 위한 대안이 서둘러 마련돼야 한다. 이미 물류현장 곳곳에서 가시화된 파업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비상조치는 제대로 작동되고 있는지도 철저히 확인해야 한다. 입장이 다르다고 틀린 건 아니다. 한발씩 물러서서 마주 앉아야 길이 보임을 양측 모두에 강조해 두고자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