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내수회복 제약에 물가 상승세 확대를 우려하는 경고를 잇달아 내놓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역시 세계경제전망을 통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을 기존 3.0%에서 2.5%로 대폭 하향 조정하고 물가상승률은 4%까지 치솟을 것으로 내다봤다. 당분간 한국 경기는 어둡고 성장은 둔화하며 인플레이션에 대한 압박이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란 전망인 것이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후보는 "인기는 없더라도 선제적으로 금리 인상 신호를 줘서 기대심리를 안정시키는 방향으로 가는 정책이 지금까지는 맞는다"고 까지 말했다.

물가 상승률이 10여년 만에 4%대로 치솟았고 대외 여건은 더욱 악화하는 지금이다. 기획재정부는 우리경제의 수출·고용 개선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등으로 내수회보 제약이 우려된다고 밝힌바 있다. 코로나변이 바이러스의 우려가 여전하고 원자재와 대외 금융시장의 불확실성 확대를 특히 우려했다.

물가가 오르면 소비자 구매력은 떨어지게 되고 고물가를 잡기 위한 금리 인상은 경기회복을 둔화시킬 수밖에 없기에 중장기 적으론 경제의 안정성이 강화된다 해도 당장의 고통은 불가피하게 된다. 특히 상당한 부채를 짊어지고 있는 자영업자나 일반서민 가계의 자금 압박은 적지 않은 부담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더구나 공식적으로 집계해 내놓은 각종 물가 통계보다 소비자들의 체감 물가 상승폭이 훨씬 크기에 정부와 한은의 재정정책, 금리, 환율을 어떻게 관리하고 유지할 것인가가 최대 관건이 되고 있다. 팬데믹 이후 한국 경제가 장기 저성장을 초래할 우려가 커졌다는 진단이 있지만 경기부양을 위한 돈 풀기 못지않게 돈줄 죄기 역시 밀어둘 상황은 아니다.

코로나19로 인해 부채가 늘어난 가계나 기업 모두 위기에 대비하고 특히 물가 오름세에 대한 경계감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정부의 긴축 조치가 일반 가계가 감내해야할 경제적 부담을 길고 강하게 끌고 갈수도 있다. 정부가 선제적 물가 관리 등 민생 안정과 대내외 리스크 점검을 통한 부정적 경제 영향 최소화에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음에도 최근의 물가 상승 국면이 향후 1~2년은 지속될 것이란 전망이다.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