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활동에 제약을 받는 사회적 약자에 대한 지원을 위해 도입한 사회적농업활동의 중심지로 전북도가 주목을 받고 있다. 도는 최근 농림축산식품부가 주관한 ‘2022년 사회적 농업 활성화사업’최종 공모에서 관내 9개 농장이 신규 사업지정 농장으로 선정되면서 전국에서 가장 많은 18개소의 사회적 농장을 운영하는 지자체가 됐다고 밝혔다.

장애인이나 독거노인, 귀농청년, 이주민, 재소자 등 사회적 약자나 불우한 처지에 놓인 이들을 농업에 참여토록 해 자립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는 분명한 목적을 가지면서 전국에서 운영 중인 사회적 농장이 112곳에 달할 만큼 정부와 지자체들의 이사업에 대한 관심은 높다. 현 정부가 출범하면서 사회적 농업을 100대 국정과제 중 하나로 선정해 육성, 지원할 만큼 농촌사회 복지증진에 이은 치유농업에 대한 기대가 부각되는 사업이기도 하다.

실제 사회적 농업은 유럽의 수도원이나 개별 병원에서 치료나 요양에 농업활동을 접목시킨 것을 시작으로 1970년대 이후 유럽전역에서 돌봄 농장 형태로 발전하면서 치유와 사회통합의 기능을 이미 충분히 확인시켰다. 우리의 경우 이제 시작이지만 일본만 해도 사회적 농업을 고용정책의 일환 발전시켜 농가에 보조금까지 주면서 사업을 확대하고 있기도 하다. 정부가 사업에 대해 얼마만큼 관심을 갖고 지원하느냐에 따라 그 가능성과 효과를 충분히 도출해 낼 수 있는 사업이란 의미다.

사회적 약자를 농업활동을 통해 지원한다는 분명한 공익적 목적을 갖고 있다. 지역주민과 도시민들의 참여를 늘려 간다면 도시와 농촌의 상생에도 적지 않은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전북도가 그동안 꾸준히 추진해 오고 있는 전국이 주목하는 강소농 육성과도 일정부분 부합해 지자체 역량까지 더해진다면 충분한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사업이다.

빈곤하고 외면 받는 이들을 포용해 더불어 함께 하는 사회의 시작점이고 그 중심에 사회적 농업이 있다는 인식전환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방향성 없는 단기적 예산 지원이 아니라 필요하다면 법과 제도의 보완도 검토해야 한다. 농업은 이제 단순히 국민의 먹을거리를 제공하는 1차 산업이 아니다. 사회적 농업에 대한 논의를 더욱 활발히 하고 이의 실천과 확장을 위한 정부와 지자체, 그리고 지역사회의 보다 적극적인 관심과 협력이 더해져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