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다문화 가정이 많이 늘면서 이들 가정의 학생들에 대한 지원책이 현안으로 떠올랐다. 우리나라 다문화 가족 출신 학생은 급증세다. 여가부 통계에 의하면 다문화 학생(초·중·고) 수는 지난 2012년 4만7천 명에서 지난해 16만 명으로 무려 240% 늘었다. 전체 학생 수가 같은 기간 672만 명에서 532만 명으로 21% 감소한 것에 비하면 가히 폭발적 증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전체 학생 중 다문화 학생의 비중은 3%대에 이른다고 한다.

이제 우리나라를 두고 단일민족국가라고 하는 것은 시대착오적인 생각이 되고 말았다. 지난 2006년 정부도 우리나라 정체성과 관련해 ‘우리나라는 다문화, 다민족 사회’라고 선언한 바 있다. 어딜 가도 결혼 이민 온 사람이나 그 자녀들을 흔히 볼 수 있는 게 현실이다.

그렇다면 당면 문제는 다문화 학생들이 우리 사회의 당당한 일원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여기서 다문화 학생이란 친부모 중 한 명이 외국 국적인 국제결혼 가정의 학생이거나 친부모 둘 다 외국 국적인 외국인 가정 자녀를 말한다.

다문화 학생이 겪는 어려움은 적지 않다. 결혼 이민자들은 우리나라 교육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고 학력 격차가 심화되는 현실을 걱정한다. 또 다문화 학생들이 학교에서 차별대우를 받거나 심할 경우 학교 폭력의 희생자가 된다는 점도 우려하고 있다.

정부의 다문화 학생 지원은 작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학령기 다문화 가족 자녀 포용적 지원방안’이 중심축이다. 이 방안의 요체는 다문화 학생들에게 읽기, 쓰기, 셈하기 등 기초 학습을 지원하는 한편 전문 상담을 통해 학업과 진로 상담을 펼치는 것이다. 정부는 올해에는 ‘다배움 사업’을 통해 적극적인 지원을 하겠다는 계획이다.

여기서 지적해야 할 점은 바로 지역사회가 이 문제를 더 적극적으로 다뤄야 한다는 것이다. 정부는 큰 테두리만 정하고 실제로 이를 시행하는 기관은 지역 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다. 하지만 현실은 기대에 못 미친다. 여전히 다문화 학생들은 학업과 교우관계, 진로 결정 등에서 큰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전북 교육청과 전북도, 시군들도 이 점을 새겨야 마땅하다. 다문화 학생들에게 정부 지원정책을 전달하는 역할에 그쳐서는 안 된다. 사회 전반적인 인식 개선과 분위기를 바꾸는 캠페인에서부터 다문화 학생들의 실태 파악과 그들의 애로사항 청취, 경제적 지원까지 할 수 있는 모든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전북처럼 인구가 계속 줄어드는 지역은 다문화 가정 정책을 제대로 시행해 그들을 지역사회 구성원으로 설 수 있도록 돕는 게 시급하다. 보다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책들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