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평등은 우리 사회가 해결해야 할 가장 화급한 현안 중 하나다. 여권 신장으로 불필요하다고 보는 시각도 없지 않으나 여러 지표나 실제 경험에 비춰 아직 더 많은 노력이 있어야 한다는 게 중론이다. 특히 20대 대선에서 20대 청년들이 스윙보터로 떠오르면서 이 문제가 정쟁의 한복판으로 들어온 형국이다. 페미니즘과 반페미니즘이 정치 이슈화되고 그에 따른 첨예한 갈등과 대립이 심각한 터다.

특히 BBC와 가디언 등 해외언론들은 한국 대선에서 후보들이 표를 더 받기 위해 성차별을 부추긴다는 내용의 기사를 싣기도 했다.

그렇다면 당사자인 20대 청년들은 성평등 정책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갖고 있을까.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16일 내놓은 ‘2021년 성평등추진전략사업 :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성평등 의제 확산’ 보고서에 따르면 성평등 정책을 정부 주요 과제로 추진하는 것에 대해 20대 청년 3명 중 2명은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 이대남은 50.1%가 긍정적인 데 반해 이대녀는 무려 84%가 찬성했다. 남녀 모두 동의 수준이 높은 세부 과제는 여성 폭력 근절, 일·가족 양립을 위한 남성의 참여 지원 등이었다.

이런 조사 결과는 앞으로 양성평등 정책이 나아가는 데 중요한 지침이 될 수 있다.

사실 우리나라의 성평등은 전 세계적으로 보아 하위권에 머물러 있다. 세계 경제포럼이 발표한 2021년 성 격차지수(GGI)를 보면 한국은 조사 대상 156개국 중 102위에 머물렀다. 조사를 시작한 2006년 92위보다 더 떨어진 것이다. 이는 필리핀이나 라오스 보다도 더 낮은 순위다. 경제 부문 성 격차지수는 더욱 낮아서 123위에 머물렀다.

반론도 있다. 성 격차지수가 4개 분야에서만 남녀 격차를 평가하는 특성으로 인해 여성 지위를 제대로 나타내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성 격차지수 상위권 나라들은 아이슬란드, 핀란드, 노르웨이 등 복지 수준이 높은 북유럽국가들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를 가볍게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성평등 문제는 어떻게든 사회적 합의가 도출돼야 할 이슈다. 남성과 여성이 서로 적대적이어서는 국가 운영이 제대로 될 리 없다. 더욱이 여가부 폐지를 놓고 찬반이 첨예한 상황이니 만큼 성평등과 관련한 정책 방향을 신중히 정해야 할 것이다. 전담 기구의 명칭이야 어떻든 성평등 정책은 계속 강화될 필요가 있다. 양성 평등은 사회 정의에 부합 할뿐 아니라 소득 증대와 가정 건강, 기업 생산성 향상 등에 긍정적 효과가 있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에 귀 기울일 일이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