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의 내년 1월 재가동을 위한 협약식이 오늘 열린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전북도, 군산시, 현대중공업의 합의에 따른 것으로 2013년 1월부터 군산조선소에서 연간 10만t 규모의 선박블럭이 생산될 예정이다. 협약서에는 현대중공업이 2023년 1월부터 군산조선소에서 선박 블록을 생산하고, 지자체는 기술 인력 양성 및 블록의 울산 이전에 필요한 물류비 일부를 지원하는 내용이 담긴다고 한다. 지난 2017년 7월 현대중공업이 조선업 불황에 따른 해외 수주 급감으로 군산조선소 가동을 전면중단한지 4년여 만이다.

군산조선소 재가동을 위해 그동안 도와 군산시, 지역정치권은 한마음으로 현대중공업의 결단을 촉구하고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협조를 요구해 왔다. 특히 현대중공업이 지난해 3년 치에 해당하는 선박수주 물량을 확보해 전남 영암, 울산 등의 선박작업장이 빈틈없이 풀가동 되면서 군산조선소의 소외감이 컸던게 사실이기에 늦은 감이 있지만 긍정적 결실을 얻어냈다는 점에서 다행이 아닐 수 없다.

군산조선소는 문을 닫기 직전인 2016년에만 16척을 건조해 1조1천418억 원의 매출을 올렸던 사업장이었다. 전북 전체 제조업의 12.3%를 차지할 만큼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했고 생산 유발효과도 2조2천억 원에 달했다. 그랬던 조선소가 가동을 중단하자 노동자 5천여 명이 일자리를 잃게 됐고 엎친데 덮친 격으로 GM군산공장마저 2018년 5월 폐쇄되면서 군산경제는 최악의 상황을 맞이했다. 정부가 군산시를 국내에선 유일하게 산업위기지역, 고용위기지역으로 동시 지정해 지원에 나서고 지자체가 전기자동자 생산공장을 유치해 회생의 발판을 마련 중에 있지만 경제회복을 위해선 아직 갈 길이 멀다.

더구나 군산조선소가 장기간 가동을 중단하면서 지역의 전문 인력이 대부분 군산을 떠났다. 조선업생태계 자체가 상당부분 붕괴되면서 재가동 결정이 났음에도 1년 가까이 인력을 정비하고 협력업체의 재건이 과제가 될 정도다.  지자체가 국비와 지방비 20억 원을 긴급 투입해 블록생산에 필요한 기술인력 양성과 교육에 나서겠다고 할 만큼 차질 없는 준비가 필요하게 됐다. 어렵게 기업의 결정을 끌어낸 만큼 다시는 이같은 아픈 과거가 되풀이 되지 않도록 준비해야 한다. 암울한 분위기에 찬바람만 불고 있는 군산조선소에 훈풍이 불어야 전북경제가 산다. 방치된 군산조선소 재가동이 전북경제 회복의 신호탄이길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