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멸위기에 놓인 기초 자치단체 문제가 최대 국가현안으로 등장한 가운데 전북완주군이 도내 군단위 지자체에선 유일하게 지역경제 역성장이 멈추고 인구감소폭이 눈에 띠게 줄면서 지방 소멸위기를 극복할 새로운 성장모델로 관심을 끌고 있다.

지난 2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지역경제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기준 완주군 경제성장과 최근 인구증가세는 괄목할 만 하다. 1인당 GRDP(지역내총생산)가 전북지역 평균(2075만원)의 1.8배에 달하는 5074만원으로 도내 최고 수준이었고 인구변화 역시 지난 2020년 전북인구가 10년 전인 지난 2010년과 비교해 평균 6.7% 감소한데 반해 완주군은 오히려 7.6%나 늘었기 때문이다. 지난 10월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전국 89개 인구감소지역에 도내에선 완주군이 전주, 익산, 군산 등 3개시와 함께 제외된 것도 이 같은 지속적인 인구증가세에 기초한 성장 가능성을 인정받았기에 가능했던 것으로 사실상 지방소멸에 뚜렷한 대안을 찾기 쉽지 않은 상황에 완주 성장 독주는 분명한 메시지를 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전북의 경우 오랜 기간 군 지역은 물론이고 대부분 시지역 조차 농업위주의 1차 산업이 주를 이루면서 산업화에 뒤처지고 이로 인한 경제 활력 저하는 ‘낙후 전북’의 굴레를 벗어날 수 없도록 했다. 물론 완주군도 예외는 아니었다. 하지만 지난 1994년 완주산업단지를 시작으로 일찌감치 산업단지조성과 기업유치에 지자체의 역량을 모아온 덕에 지금은 과학산업단지, 테크노밸리산업단지·제2산업단지등으로 규모를 대폭 확대했고 이젠 한국이 주목하는 수소산업 중심으로서의 입지까지 확실히 다져가고 있다. 기업유치가 활기를 띠고 일자리가 늘면서 경제가 힘을 얻어가는 선순환 구조의 확립이 머무르고 싶은 지역으로 탈바꿈 하는 건 당연한 수순이란 것을 완주군은 실증으로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교통이 편리한 지리적 이점도 있고 주변 대도시와의 연계성이 도움을 준 것도 사실이지만 가능성을 믿고 지속적이고 꾸준히 지역을 변화시키겠다는 완주군의 의지와 노력이 없었다면 불가능한 일이었다. 경제성장 지속 노력이 지금도 진행 중이기에 성공을 예단할 순 없지만 현재까지 인구감소와 경제 활력에 효과적으로 대응해온 것만으로도 충분히 평가받고도 남음이 있다. 시사한 바 크다. 소멸위기 지자체들, 정말 위기극복에 최선을 다하고 있는지 냉정히 돌아볼 일이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