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도시 건설과 공공기관 이전이 수도권 인구를 분산하고 지역 산업구조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국토연구원 김태환 국가균형발전지원센터장 등 연구팀은 5일 ‘혁신도시 15년의 성과평가와 미래발전 전략’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북 혁신도시를 비롯한 10개 혁신도시 건설로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인구가 역전되는 시점을 8년가량 늦추는 효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도시 인구는 공공기관 지방이전이 본격화한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수도권으로 유출되던 인구가 순유입으로 전환됐다고 연구팀은 분석했다. 실제 혁신도시 인구는 2019년 말 현재 20만4000명으로 2030년 계획인구의 76.4% 수준이다.

같은 기간 혁신도시 입주기업은 1704개로 사업체수와 관련 종사자수의 증가도 뚜렷했다.

연구팀은 전북 혁신도시의 경우 2만1874개의 일자리가 새로 생겨 일자리가 가장 많이 늘어난 곳으로 꼽았다. 기업이 가장 많이 유치된 곳은 434개사가 입주한 경남 혁신도시였다.

이와 함께 혁신도시 건설은 사업체수나 관련 종사자수 증가 등으로 지역산업 구조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효과를 보였다고 했다. 반면 공공기관 배치에서 선택과 집중을 통한 규모경제, 지역산업과의 연계를 놓친 점은 지적됐다.

혁신도시 주민의 정주 만족도 개선도 과제로 꼽았다. 올 상반기 혁신도시 주민을 상대로 한 정주만족도 조사결과 주거환경 만족도는 57.2%였지만, 교통환경 만족도는 30.2%로 낮았다.

연구팀은 혁신도시의 미래발전을 위해 ▲혁신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기반 확충(혁신플랫폼 구축, 민간투자 활성화 대책) ▲혁신역량의 주변지역 확산(공공기관의 상생발전 사업참여 확대) ▲혁신도시 발전전략의 안정적 추진기반 구축(혁신도시발전지원센터 설립) 등 3대 전략을 제시했다.

김태환 국가균형발전지원센터 소장은 "공공기관 지방 이전과 혁신도시 건설 효과를 제고하고 혁신도시를 새로운 지역성장거점으로 육성하려면 전향적인 기업 인센티브 등 민간기업 입주와 투자 활성화를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국토교통부 용역을 받아 진행됐으며, 국토부는 이 자료를 바탕으로 혁신도시 개선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최홍은기자·hiimnews@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