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교육청이 도내 지역구 국회의원들을 초청, 교육 간담회를 열었다. 21대 국회의원들과의 상견례를 겸한 이 자리엔 농어촌을 지역구로 두고 있는 대부분 의원들이 참석하면서 급격한 인구감소에 대도시 쏠림 가속화로 존폐위기에 처한 농어촌 지역 초중고의 활성에 대책에 대한 논의가 주요 안건이 됐다.  
전북교육의 균형발전을 위해선 무엇보다 특색 있는 농어촌학교 육성을 위한 기반 조성노력과 함께 농어촌지역 폐교의 효율적인 이용방안에 대한 도교육당국의 적극적인 의지를 촉구하는 지적까지 많은 제안이었었다.
지난 3월 기준 도내 전체 초중고 769곳 중 농어촌지역에 위치한 학교는 절반이 넘어 60%에 달하는 451곳에 달하지만 이중 37%인 284곳이 학생 수 60명이하의 소규모 학교였다. 그리고 이런 농어촌 학교는 매년 늘어나고 있고 이처럼 문을 다는 작은 학교가 많아진다는 건 곧 지역이 사라질수도 있다는 심각한 경고란 점에서 지역정치권의 초미의 관심사가 된 것이다. 
산업화로 인해 인구의 대도시집중, 특히 젊은이들의 탈 농촌가속화는 ‘아이울음소리 그친 농촌’에 이은 공교육가속화 붕괴로 이어지며 심각한 교육 불균형을 야기 시켰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의원들이 농어촌학교 폐교를 막고 교육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선 농어촌에서도 도시 못지 않은 충분한 교육이 가능하다는 분명한 믿음을 주는 것이 급선무라고 지적한 것도 이 때문이다.
도시규모에 따라 교육 격차가 크게 벌어지는 불균형심화의 잘못된 한국교육구조 개선 시급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그리고 이는 정부의 농촌정책 개선의지에 이은 교육당국과 지자체의 지속적인 협력을 요구한다. 교육시스템이나 교육 의미를 감안해 볼 때 작은 학교의 교육효과가 떨어질 것이란 우려도 있지만 지역특성을 활용하고 주민과 지자체의 공동체의식을 바탕으로 한 작은 학교 활성화에 예는 얼마든지 많다. 
다문화 가정이 많은 농어촌특성을 살려 학부모들이 외국어를 가르치고 토요공부방을 운영해 학교를 살렸는가 하면 청정자연 환경을 이용한 아토피치료 마을이란 이미지를 확산시켜 지역의 작은 학교를 아토피안심학교로 전국에 알려가는 학교에 이르기 까지 노력하고 정성을 들인다면 ‘가고 싶은 농어촌학교’는 분명 현실이 될 수 있다. 소규모 농어촌학교는 ‘폐교의 대상’이 아니라 ‘가능성의 대상’이다. 학교와 교육청, 지역 주민과 지자체와 정부의 소규모학교에 대한 인식전환 필요하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