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가 새만금 수질 개선사업 연장필요성을 강조한데 대해 도내 환경단체가 이에 반대하는 입장을 내놨다. 올해 말로 끝나는 새만금호 2단계 수질개선 대책 사업이 마무리된다 해도 처음 예상과 달리 내부개발이 지지부진하고 새만금호 수질 개선사업의 효과 역시 기대에 크게 못 미치고 있는 만큼 사업연장이 불가피하다는 게 도 입장이다. 당초 2단계수질개선 사업 추진시점과 현재의 여건이 크게 바뀐 만큼 사업추진성과를 면밀히 검토, 추가 보완책을 더한 범정부차원의 3단계 수질개선 사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실제 새만금내부개발이 73%수준에 다다를 것이라는 예측 하에 2단계 수질대책이 수립됐지만 현재 개발은 38%에 불과하고 새만금호 내부 환경대책은 내년 착공도 어려운 상황이다. 새만금사업 개발 진척도와 환경개선 등을 감안할 때 올해 목표 수질 달성은 불가능한 만큼 반드시 추가 개선사업에 대한 정부의지가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문제는 새만금수질개선을 위해 그동안 정부가 지난 1단계(2001~2010년)때 1조4천여억 원, 그리고 2단계(2011~2018년)엔 2조6천여억 원의 사업비를 각각 투입했음에도 새만금상류인 만경강, 동진강, 전주천, 익산천의 수질만 3급으로 개선하는 효과를 거두었을 뿐 새만금 농업용지와 도시용지수질은 여전히 목표수질을 밑도는 4~6급에 머물고 있다는 점이다. 도내 환경단체들이 20년 동안 막대한 사업비를 투입하고도 목표수질을 맞추지 못하고 있는 새만금 수질개선사업을 중단하고 해수유통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 역시 전북도는 새만금 내부개발이 지연된데 따른 수질요염물질의 지속적 배출을 요인으로 꼽고 있는 반면 환경단체는 개발이 진전될수록 수질은 더욱 악화될 수밖에 없다는 비판으로 맞서고 있다.
성공적인 새만금사업의 마무리를 위한 바람은 같다고 이해할 수 있지만 해수유통문제는 사업초기부터 찬반이 첨예하게 맞섰던 문제다. 그리고 그에 대한 대안으로 4조원이 넘는 사업비가 투입된 수질개선 사업이 지금도 진행 중에 있다. 일정부분 효과가 확인됐고 정부도 이에 대한 용역을 통해 올해 안에 새로운 사업방향을 정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20년을 지속해온 수질개선사업이다. 그렇지 않아도 터덕거렸던 사업이고 다시 발목 잡히는 일이 있어선 안 되는 지속가능한 미래의 땅이다. 지역사회 모두의 합의와 공감대 형성을 통해 신중히 접근해야할 문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