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에 따라, 유형에 따라 천차만별인 어린이집 급식비 차별 지원이 내년에도 크게 나아지지 않을 전망이다. 22년째 동결됐던 정부 급식사업비가 최근 ‘흙 식판’ 논란으로 사회문제화 되자 국회가 내년예산으로 109억 원을 증액했지만 이를 통해선 겨우 한 끼 1900원을 지원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전북도 예외는 아니어서 공공기관 어린이집과 일반어린이집 차별로 시작된 금식판?흙식판 논란은 이제 시군에 따라 급식비가 차이가 나는 불평등현실로 다가 왔다. 도내 14개 시군중 남원시, 완주군, 순창군은 다음 달부터 끼니당 2650원을 지급, 도내에서 가장 많은 급식비를 지원키로 한데 반해 전주시를 비롯해 익산시, 정읍시 등 8개 시군은 도내에서 가장 낮은 2150원의 급식비가 책정됐다. 끼니당 최고 500원 씩 차이가 나는 것으로 비록 급식비가 인상됐다 해도 과거에도 그랬듯이 내년에도 사는 곳이 어디냐에 따라 빈약한 급식 판을 받아 들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 이어지게 된 것이다.
찔끔 오른 정부지원금에다가 각 지자체들이 재정형편에 따라 추가 지원하는 금액을 더해 편성되는 급식비지원이라 지자체별 차이는 불가피한 측면이 없을 수 없다. 도내 7개시 군이 단 한 푼의 추가지원도 못할 정도다. 하지만 어린이들이 먹는 급식지원에 있어서까지 차별적인 요소가 더해지며 부익부 빈익빈을 고착화 시킨다면 이는 더 큰 문제다.   
시민단체인 정치하는 엄마들 급식 팀이 전국 300여개 공공기관 직장어린이집 급간식비를 전수조사해서 발표한 자료에서 가장 많은 급식비를 지급하는 곳은 서울시청직장어린이집으로 하루 급간식비가 6,391원이었다. 보건복지부 기준과 비교 4배에 가까운 금액이고 정작 보건복지부도 3,862원, 대통령 비서실 3,800원, 국회 역시 3,800원으로 일반 어린이집 보다 2배 이상 많았다. 국민청원으로 까지 이어지며 ‘흙식판’논란이 일수밖에 없었던 이유다.
콩 한조각도 나눠먹는다는 우리인데 이유도 모른 채 그저 부모의 직장에 따라, 사는 곳이 어딘가에 따라 어려서부터 급식 양극화라는 심각한 사회모순에 멍이 드는 아이들이 있어서야 되겠는가. 시민단체가 주장하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는 변명을 할 게 아니다. 많이 주는 건 현실인 만큼 혜택을 나누기 위한 방안 마련을 고민해야 한다. 내년 초 고시될 유아 기준 급·간식비 표준보육비용 결정이 비참한 어린이 식판 논쟁에 종지부를 찍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그게 정부가 할 일이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