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인구감소를 막기 위해 전북도가 또다시 대책을 내놨다. 기존 인구 늘리기 대책으론 효과를 거두기 힘들다는 자체 판단에 따른 것으로 제2 고향 만들기 사업을 중심으로 한 체류형정책 활성화와 함께 난임 부부 치유캠프 지원운영을 비롯한 산후관리비지원 등의 실질적인 출산장려지원 사업 확대에 초점을 맞춰나가기로 했다. 어렵게 지켜왔던 전북인구 185만 명 붕괴에 이어 이젠 180만 명 유지를 걱정할 단계에 까지 몰린 전북도가 다시 보완책을 내놓은 것이다.
전북도가 인구정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운영 중인 ‘인구정책민관위원회’는 지난 26일 그동안의 사업들에 대한 평가와 함께 내년 인구정책의 방향에 대한 큰 틀을  확정했다. 특히 위원들은 지속적인 인구 늘리기 지원대책에도 전북 인구가 매년 급감하는데 대해 깊은 우려를 표명하고 전북만의 특색과 장점을 내세운 인구유입 노력과 함께 출산율을 높이기 위한 지자체 차원의 맞춤형 지원대책을 더욱 적극적으로 추진키로 의견을 모았다.
하지만 인위적인 인구 늘리기 정책은 분명한 한계가 존재할 수밖에 없다.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을 제외한 비수도권 지자체 대부분이 인구감소에 몸살을 앓고 있는 현실이 이를 증명한다. 지난 2015년 인구 270만3000명에 달했던 경북의 경우 해마다 1만 명 내외의 인구가 줄어들고 있다. 관내 모든 지자체 최우선 과제가 인구 늘리기가 됐고 특히 인구 10만 명이 무너진 상주시는 지난 2월 공무원들이 ‘상복 차림’으로 까지 출근하며 10만 명 회복을 위한 의지를 다졌지만 지난달 말 인구는 9만9천5백여 명 수준에 머물고 있다고 한다. 의지와 노력만으로 떠나는 인구를 잡을 수 없고 출산율을 높일 수 없음을 확인시켜주는 안타까운 현실이 아닐 수 없다.
범도민 운동에 이주정착금지원, 주소이전 유공 장려금, 청년직장인 주택임차료 지원에 이르기 까지 지자체가 동원할 수 있는 모든 지원대책이 쏟아지고 있음에도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인구 늘리기다. 만성적인 경제난에 일자리 없어 지역을 등지고 2세 까지 포기해야 하는 기막힌 현실은 절대 지자체 예산이나 정책만으로 해결할 수 없다. 비대해지는 수도권 인구까지를 감안한 거시적인 인구정책과는 별도로 지방의 현실을 감안한 정부의 특단의 대책이 서둘러야 하는 이유다. 인구 감소로 지방이 소멸하고 대책을 마련하면 너무 늦지 않겠는가.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