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마지막 블루오션’으로 불리는 미래 농업의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일종의 산업단지 형태인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을 추진 중인 가운데, 전국 지자체들이 일제히 유치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당초 전북이 고안했고, 이를 정부에 적극 건의해 국책사업으로 확대됐다는 측면에서 전북 유치의 명분은 충분하다는 분석이다.
또한, 농업의 생산과 교육, 연구, 유통 등 다양한 사업 기능의 충족화를 요하는 특성 상 현재 전북 조성지(김제 백구)의 객관적 평가는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위에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전국을 대상으로 전문 농업 인력을 양성·배출하는 도농식품인력개발원과 농촌진흥청 등 농업 관련 정부 및 연구기관들이 인근에 집적화 돼 있는 점 등은 상당한 긍정 평가 지표로 작용하고 있다.   
하지만 거액의 국비가 투입된다는 점과 향후 미래 농업의 성장 동력 확보라는 프리미엄 상 타 지자체들과의 경쟁은 불가피한 상황으로 현재 전국 거의 모든 지역이 이번 공모사업에 함께 뛰어든 상황이다.
이들 지자체들은 자체적으로 스마트팜 혁신밸리 T/F를 꾸리는 등 앞 다퉈 유치전에 뛰어들고 있고, 지난 13일 1차 공모신청(2곳 선정·2차 10월 2곳 선정)에 전북을 비롯해 전남, 경북, 제주, 강원 등 전국 10여개 지자체가 접수를 마친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지자체들의 이 같은 과잉 경쟁을 뒤로 하고 각 지역 농민단체 등은 우려의 목소리가 담긴 성명서들을 잇달아 발표하고 있다.
농민 단체들은 대기업이 주도하는 사업으로 진행된 기존 유사 사업들(전 정권)의 실패를 반복할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유통구조의 개선 및 대안이 미비한 상황에서 국비 1조원(총) 이상이 투입되는 대규모 사업인데도 여론수렴 등의 절차가 부족했다는 이유다.
이 같은 반발 움직임은 유치전에 뛰어든 전국에서 대동소이하게 벌어지고 있지만, 전북의 경우 현재까지는 이렇다 할 공식 의견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공모 심사에 어떻게 작용될지 주목되고 있다.
도 관계자는 “전북 역시 농민단체 등의 우려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삼락농정 위원회의 등을 통해 지차체 차원의 토지제공 부분, 밸리 조성 후 운영주최가 변경되는 등의 우려에 대한 도의 책임성 부각 등 타 지역들과는 다른 형식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며 “농업기자재와 식품, 바이오 등 실증연구와 상용화를 실현할 수 있는 단지로, 스마트팜 혁신밸리가 유치되면 도가 추진하는 아시아스마트농생명밸리 조성사업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전농 전북연맹 관계자는 “이 사업에 대한 걱정스런 부분이 많은 것은 사실이지만 아직 연맹의 공식적 입장은 정해져 있지는 않다”며 “토지제공 사항 등 전북이 타 지역에 비해 우려가 상대적으로 덜한 것은 사실이지만 향후 예상되는 문제를 대비하기 위해 내부 의견을 모을 계획이다”고 말했다.
/유승훈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